분류 전체보기379 아질산 나트륨 자살키트 판매한 '죽음의 요리사' 케네스 로 캐나다에서 식품첨가물을 사용한 자살 키트를 판매하여 총 100명 이상의 사망 사건과 관련이 있는 전직 요리사 '케네스 로(Kenneth Law, 58세)'가 자살 방조죄로 기소되었습니다. 케네스로는 식품첨가물로 사용되지만 오용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제품 1,200개 가량을 온라인상에서 전 세계로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는데요, 이 키트를 구성하는 물질은 다름 아닌 '아질산 나트륨'입니다. 아질산 나트륨 또는 아질산염은 주로 식육가공품의 보존제 및 발색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쉽게 이야기하면 우리가 먹는 햄이나 소시지 등에 먹음직스러운 색상을 내고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첨가물입니다. 특히, 이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탁월하여 적당량 사용했을 때는 오히려 독보다 득이 되는 물질이고.. 식품관련 핫이슈 2023. 12. 12. 더보기 ›› 차의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 최근 몇 년간 커피 열풍이 불면서 차(茶,tea)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차를 마시기 위해 우리다 보면 색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처럼 차의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의 역사 차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정확히는 중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에 해당하는 지역이라고 해요. 중국의 역사서에 따르면 기원전 2373년 농업과 의술의 신으로 불리던 신농이 약초의 효능을 조사하던 중 중독에 빠졌고, 이를 해독하기 위해 찻잎을 먹은데서 차의 역사가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대와 같이 음료로서 차의 역사가 시작된 것은 중국 삼국 시대(220년~280년)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삼국지의 오나라 편에 등장하는 차로 술을 대신하여 마신다는..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2. 11. 더보기 ››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의 종류와 연마제의 유해성 주방 가위나 칼, 그릇에서 보온 밥솥 냄비까지 위생을 위해서 가장 많이 쓰는 금속 소재 중 하나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 아닐까 합니다. 이 스테인리스강은 어떤 원리로 우리가 녹을 섭취하지 않게 도와주고 식자재에 쓰이는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철강 재료의 한 종류로, 녹이 잘 슬지 않게 만든 합금강의 일종입니다. 최소 10.5 혹은 11%의 크롬이 들어가야 하며 일반 탄소강과는 다르게 크롬 산화물이 표면의 부식을 예방해 주어 전체적인 구조에 녹이 번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스테인리스강 하면 단순히 한 종류만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현재 약 150개의 등급이 있다고 합니다. 요리 기구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수술기.. 식품공학/식자재소재 2023. 12. 10. 더보기 ›› 히스테리시스-이력현상(Hysteresis)에 대해 히스테리시스, 이력현상 또는 기역효과라고도 합니다. 이는 단순 식품뿐만 아니라 역학, 물리학, 수문학,경제학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간단한 설명으로는 "파괴된 뒤 결코 다시 회복할 수 없는 현상"인데요, 식품에서 쓰일 때는 그 의미가 유사하기도 하면서도 적용하는 사례가 다릅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식품에서의 히스테리시스는 일정한 수분 활성도(Aw)와 온도에서 수분이 탈습되었다가 다시 흡습되는 경우 전량이 돌아오지 않는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이는 탈습 과정 중에 조직을 형성하고 있던 분자 조직들이 수분이 빠져나감과 동시에 공간을 통해 수축하여 다시 흡습될 수 있는 공간을 적게 만들어 주는 것 등이 원인이 됩니다. 그래프에서와 같이 대부분 식품에 있어서 수분의 등온흡습곡선과 등..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2. 9. 더보기 ›› 참기름과 들기름의 차이 한국인의 밥상에 식용유로 자주 등장하는 참기름과 들기름 둘 다 깨를 원료로 짜서 만든다는 데서 비슷해 보이지만 맛과 향뿐만 아니라 영양성분,특성까지 달라 잘 알아보고 쓰면 더 좋지요. 참기름과 들기름은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참기름(Sesame oil) 참깨를 원료로 하여 짜서 만든 기름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일본 등 아시아 국가의 요리에서 잘 쓰입니다. 참기름의 채유 방법에는 온도에 따라 온압법과 냉압법으로 나누어집니다. 온압법은 섭씨 210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볶아 유지를 활성화 시킨 뒤 압착하여 짜내는 방법입니다. 반대로 냉압법은 볶지 않고 낮은 온도에서 압착하여 채유하는 방법입니다. 온압법으로 짠 기름은 색과 향이 짙지만 타는 점이 낮아 튀김 요리에 부적합 합니다. 냉압법으로 짠 기름.. 식품이야기 2023. 12. 8. 더보기 ›› 민물장어와 꼼장어의 차이? 대표적인 가을철 보양식 하면 떠올리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민물장어입니다. 장어는 성인병 예방과 원기 회복에 탁월한 필수 아미노산을 고루 갖춘 고단백 식품으로 알려져 있죠 하지만 귀하신 몸의 비싼 가격 덕분에 항상 쉽게 접하긴 어려운 게 사실인데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독특한 맛과 식감 덕에 민물장어와는 별개로 술안주로 가끔 접하게 되는 것이 꼼장어입니다. 포장마차 같은 데서 주문하게 되면 한 점에 술 한 잔 하기에 정말 좋은 술안주죠. 그렇다면 둘 다 장어라고 하기는 하는데 민물장어와 꼼장어의 차이점은 도대체 뭘까요? 민물장어(뱀장어) 단순한 구이부터 초밥,덮밥까지 요리해서 먹는 장어 하면 가장 일반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것이 이 민물장어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서양권 그리고 특히, 일본에서도 장어는 인.. 식품이야기 2023. 12. 6. 더보기 ›› 술(酒) 이야기 따뜻한 햇빛 아래 깊숙이 파인 웅덩이에 떨어진 포도 몇 송이가 적절한 습도와 효모에 의해 발효되어 향긋한 풍미를 가진 액체가 되었다. 이를 원숭이들이 우연히 마셔보고는 그 맛이 좋아서 즐기기 시작했다. '원주(猿酒)' 원숭이들이 우연히 발효된 과실주를 마시는 데서 술이 시작됬다고 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술은 인간의 역사보다 오래전부터 시작하여 귀한 의식과 행사의 물품부터 서민들을 위로하는 기호품까지 다양한 위치에서 함께해 왔습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그렇게 술을 마실까? 술을 즐겨 마시는 사람도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한 번쯤은 생각해 봤을 주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점점 오르는 주세에 1군 발암물질로서 지방간부터 심혈관계 질환까지 건강에 도통 도움이라곤 안되는 술을 우리는 도대체 왜 마시는 것일까 같은.. 사설 2023. 12. 4. 더보기 ›› 천연벌꿀과 사양벌꿀의 차이와 효능 건강을 위해서 꿀을 찾는 분들이 많은데요 구매하기 전 천연벌꿀과 사양벌꿀을 보고 망설이시기도 하실겁니다. 오늘은 벌꿀에 대한 설명부터 천연벌꿀과 사양벌꿀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벌꿀(Honey) 벌꿀은 꿀벌이 꽃의 밀선에서 분비되는 자당을 먹었다가 토해낸 액체입니다. 자당이 꿀벌 효소에 의해 과당과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점성이 있는 액체가 되는데 이를 벌꿀이라고 합니다. 이 꿀은 원래 벌이 먹이원으로써 저장해놓았다가 날씨가 추워지면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용도입니다. 산삼과 더불어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대표적인 영약으로 많이 사용해오고 있죠. 벌꿀의 색과 맛은 원료과 되는 것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천연벌꿀 천연벌꿀은 벌이 꽃에서 직접 채집한 꿀로 꽃의 종류에 따라 아카시아꿀, 유채.. 식품이야기 2023. 11. 30. 더보기 ›› 소시지와 햄에 함유된 아질산나트륨 부작용 발암? 제거하는 방법 시대의 발전에 따라 점점 건강한 삶을 중요시하게 되고 이제는 식품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첨가물을 보고 사는 때가 됬습니다. 근 몇 년 동안 특히 이슈가 되는 첨가물은 소시지나 햄 같은 가공육에 함유되어 있는 '아질산나트륨' 일 것입니다. 오늘은 이 첨가물 아질산 나트륨이 도대체 왜 들어가는 것이고 어떤 부작용이 있으며 제거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질산나트륨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은 아질산염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식육가공품의 보존제 및 발색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질산나트륨에 납과 함께 가열하거나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에 산화질소를 흡수·농축하여 만듭니다. 화학식은 NaNO2, 비중은 2.17, 녹는점은 271℃, 용해도는 상온에서 84.8 g/100 mL로 물에.. 식품관련 핫이슈 2023. 11. 28. 더보기 ›› 극저온 동결(Cryogenic freezing)의 정의 및 장단점 식품의 저장 및 장기 보관을 위해 동결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큰 식품 기업체 단위에서도 사용하지만 흔히 가정에서도 소비기한이 다가오는데 소비하기가 어려운 식품이 있다면 냉동보관을 하고는 하죠 하지만 식품의 동결보관 방식이 꼭 좋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식품의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맛과 영양소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죠. 오늘은 기존의 동결(Freezing) 방식과 극저온 동결(Cryogenic freezing) 방식의 차이 및 장단점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냉동식품의 정의 냉동식품은 전처리(가공 또는 조리)한 식품을 장기 보존할 목적으로 급속 동결하여 포장 처리한 것으로, -18℃ 이하의 품온이 되도록 냉동 보관한 식품을 이야기합니다. 냉동식품이라 하면 전처리한 식품을 ..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1. 27. 더보기 ›› 가열살균과 비가열살균의 장단점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예방하고 안전성과 보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가공 방식에는 가열살균,건조,냉동 및 보존제 활용,PH 조정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 오늘은 열처리를 통하여 식품 보관 기간을 연장시키는 가열살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열살균은 방식이나 설비 등에 따라 그 카테고리가 세분화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식품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엄마들도 어린 영아들의 이유식을 위해 살균우유와 멸균우유의 차이점에 대해 공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오늘은 열을 가하고 가하지 않음에 따라 살균 방식을 통틀어 '가열살균'과 '비가열살균'으로 나누어 그 차이점에 중점을 두고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열살균 식품의 살균 중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열처리에 의하여 식품 중의 미생물을 사멸시켜 ..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1. 25. 더보기 ›› 밀크시슬 실리마린 효능 부작용 복용법 비교 추천 회식이 잦은 사회인들이라면 가장 건강을 우려하는 부분 중 하나가 간 건강 문제 아닐까 합니다. 과한 음주와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자주 피곤하다 보면 간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닐까 의심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그래서 사람들이 자주 찾는 밀크시슬 실리마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밀크시슬 실리마린? 밀크시슬(Milk thistle) 또는 흰무늬엉겅퀴(Silybum marianum)으로 불리는 이것은 흔히 지금은 우리가 자주 접하는 영양제의 한 종류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엉겅퀴류 식물의 한 종류를 뜻하는 명칭이라고 해요. 국화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식물 또는 두해살이식물로 분류됩니다. 이 식물에 2~3% 들어가 잇는 성분이 실리마린이라고 합니다. 효과 밀크시슬 안에 있는 주요 성분인 실리마린은 옛날부.. 식품공학/건강기능식품 2023. 11. 23. 더보기 ›› 아르기닌 근력운동 효과 부작용 탈모? 코로나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면서 헬스장이나 다른 여러 운동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이런 추세에 맞춰 운동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도 많이 판매되고 있는데요 최근 떠오르는 영양제 중 하나인 아르기닌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아르기닌? 아르기닌은 단백질의 대표적인 구성 성분인 아미노산의 한 종류입니다. 콩나물에도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며 숙취 해소를 돕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과음 후 다음날 콩나물 해장국을 먹으면 숙취 해소가 된다고 하는 것은 이 아르기닌이 그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효과 아르기닌을 섭취시 혈관이 확장되고 체내 일산화질소가 생성돼 근육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보자면 세포 분열, 상처 치유, 체내에서 암모니아 제거 면역 기.. 식품공학/건강기능식품 2023. 11. 21. 더보기 ›› 오메가3 효과 추천제품 비교 부작용 간손상? 최근들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영양제 중 하나가 오메가3 인데요 이 오메가3가 어떤 성분이고 효능과 부작용은 어떠하며 추천 제품에는 뭐가 있는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메가3? 오메가3는 오메가3 지방산이라고도 불리며 불포화 지방산의 한 종류라고 해요. 흔히 DHA와 EPA를 이야기하는데 정의 상으로는 끝부분에부터 세 번째 탄소에 이중결합이 시작되며 다 오메가3로 분류될 수 있어서 오메가3 안에 DHA와 EPA가 포함되어 있다는 게 맞다고 하네요. 1) DHA(Docosahexaenoic acid) 등푸른 생선의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다가 불포화 지방산입니다. 건강보조식품 재료로는 멸치나 정어리,고등어,연어에서 뽑아낸 기름을 쓰며 이 DHA가 오메가3 영양 성분의 대부분을 .. 식품공학/건강기능식품 2023. 11. 20. 더보기 ›› 초콜릿 브랜드 고디바(Godiva) 커피,케이크,초콜릿 등 디저트류에 대한 관심이 언젠가부터 급증하면서 우리나라에도 다양한 디저트 브랜드들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많이들 알고계신 인지도 있는 초콜릿 브랜드 고디바(Godiv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디바(Godiva) 고디바(Godiva)는 요셉 드랍스(Joseph Draps)가 1926년 벨기에에서 설립한 벨기에의 세계적인 초콜릿 브랜드입니다. 고디바는 초콜릿만을 생산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그 외에도 트뤼플, 코코아, 비스킷, 코코아 음료, 맛이 가미된 커피나 술 등 초콜릿 관련 제품들을 판매한다고 합니다. 회사 로고를 보면 말을타고 있는 반나체의 여인이 그려져 있는데요, 고디바 사명과 로고의 유래는 11세기경 영국의 코번트리 지역을 통치하고 있던 .. 식품이야기/식품브랜드 2023. 11. 19. 더보기 ›› 일본 젤리 주의보! 문제의 HCHH젤리의 성분은 무엇인가? 최근 일본의 도쿄 고가네이시 무사시노 공원에서 열린 한 축제에서 한 남성이 나눠준 젤리를 먹은 10~50대 5명이 몸이 좋지 않다고 호소하며 병원에 이송된 일이 있었죠. 또 유사한 사례로 도쿄 스미다구 오시아게역 플랫폼에서는 20대 남녀 4명이 열차에서 내린 후 고통을 호소하고 몸이 안 좋다고 하여 승객의 119 신고로 병원에 이송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경찰의 증언으로는 이들 일부 역시 열차에 타기 전 어떤 젤리를 먹었다고 합니다. 이들이 먹은 젤리는 모두 공통으로 오사카의 한 회사에서 만든 HHCH(헥사드로칸나비헥솔)이라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지난 10일 오사카 관계 당국은 식품위생법을 근거로 해당 업체 조사를 했지만 위생상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젤리에 들어있는 HHCH(헥사드.. 식품관련 핫이슈 2023. 11. 19. 더보기 ›› 2023년 크리스마스 어드벤트 캘린더 비교 특징 추천 벌써 2023년도 한 해가 다 가고 마지막 달인 12월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가 되면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크리스마스 연휴를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리게 되는데요 크리스마스 어드벤트 캘린더는 이런 크리스마스 연휴 전 약 한 달간을 조금 더 즐거운 마음으로 기다릴 수 있도록 나온 제품이라고 합니다. 이제는 한국에도 조금씩 익숙해지고 있지만 아직은 많이 생소한 분들을 위해 어드벤트 캘린더가 무엇인지부터 같이 알아보기로 합시다. 크리스마스 어드벤트 캘린더 (Christmas Advent Calendar) 어드벤트 캘린더(Advent Calendar) 직역하면 '강림절 달력'이란 뜻입니다. 여기서 강림절이란 기독교에서 성탄절 전의 4주간의 기간을 이르는 말로, 어드벤트 캘린더는 이 기간에 나오는 달력.. 식품관련 핫이슈 2023. 11. 18. 더보기 ›› 식품(食品)과 나의 이야기 식품(食品) 사전적인 의미로는 '사람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하지만 나에게는 가끔은 조금 어렵게 느껴지는 단어이기도 하다. 처음 어째서 식품공학을 전공했냐고 하면 딱히, 특별한 이유는 없었다. 단지, 먹고 마시는 건 즐거운 일이고 항상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일들보다 더 보람차고 늘 필요로 할 것 같아서 그 정도 이유였던 것 같다. 대학교 때 식품 화학,식품 미생물학을 포함해서 많은 연관 과목을 배웠지만 그 당시에는 원래부터 과학이 젬병이던 나에게 식품공학을 공부하고 활용하는 것은 단지 취업하기 위한 어려운 고등교육의 연장선상 그 정도 의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던 것 같다. 대학생 때 많은 알바를 식품과 연관 있는 곳에서 하곤 했었다. 카페,베이커리를 비롯해 다양한 곳에서.. 사설 2023. 11. 18. 더보기 ›› 당뇨에 좋다는 스테비아 방울토마토, 스테비아 커피 정말로 부작용이 없고 안전한 것일까 칼로리가 없는 설탕의 대체 감미료로 대두되고 있는 스테비아 최근 들어 여러 식품에 그 특유의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과연 이런 장점만 있는 것 같은 스테비아는 정말 안전한 물질일까 스테비아의 정의서부터 사용되고 있는 음식 그리고 부작용까지 찾아보았습니다. 스테비아? 스테비아는 파라과이와 브라질이 원산지인 Stevia rebaudiana 라는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달콤한 설탕 대체물이라고 합니다. 이는 설탕과 달리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우리 몸은 에너지를 쓰기 위해 음식물을 섭취하면 그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분을 에너지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에너지로 다 사용되지 못한 영양분은 체내에 구성성분으로 저장되게 되죠. 그래서 설탕이나 단 음식을..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3. 11. 18. 더보기 ›› 이전 1 ···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