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0)
(커피 리뷰) 콜롬비아 로꼬 피나콜라다 평소 쓰거나 단 맛, 산미 가득한 커피를 떠나특별한 느낌을 주는 커피를 마셔보고 싶다면콜롬비아 로꼬 피나콜라다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이 원두는 아마티보 코리아라고 콜롬비아, 멕시코, 에콰도르 커피를 주로 다루는중남미 생두 전문업체에서 취급하는 원두인데요.뉴 웨이브 스페셜티의 수요에 맞춰 새로운 라인업인 LOCO 시리즈를 내놓습니다.로꼬시리즈는 현재 30번까지 있으며피나콜라다는 15번째 시리즈로 보시면 됩니다.해변의 선셋과 함께 즐기는 칵테일 느낌의 코코넛과 파인애플 맛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하네요지역은 콜롬비아의 산타로사 데 카발에서 재배되었다고 하는데여담으로 온천이 유명한 지역이라고 합니다.품종은 카투라(Caturra)종이구요.이 카투라는 버번의 자연 돌연변이 종이라고 하네요.로꼬시리즈는 특별한..
(커피 리뷰)에티오피아 시다마 아르베고나 물루게타 문타샤 내추럴 깔끔하고 상큼한 산미를 주는 커피입니다.산미의 종류는 파인애플과 같은 열대과일 느낌이 납니다.어떻게 느끼면 복숭아나 홍차같은 풍미일 수도 있겠네요.언뜻 들으면 깔끔하다는 느낌이 자칫 가볍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뒤에 적당한 바디감도 있어 가볍지만은 않은 커피입니다.누구는 이 바디감을 우유같다고 표현도 하더라구요.에티오피아 시다모 지역에서 재배/가공 되었다고 하구요물루게타 문타샤는 소작농들이 모인 다웬초 연합의 수장 이름이라고 합니다.15년 이상 에티오피아 커피 산업에 종사하신 분이라고 하네요.재배고도는 약 2,200~2,400M 정도입니다.덕분에 커피 콩의 크기가 작고 밀도가 높아 개성이 잘 살아나는 특징이 있습니다.뜨겁게 마실 때와 차갑게 마실 때는 풍미의 차이가 크다고 합니다.적절한 바디감과상큼한 느낌의..
(커피 리뷰) 코스타리카 라 이슬라 게이샤 블랙 허니 산미가 특징적인 원두입니다.상큼하지만 너무 튀기 전까지만 올라오는 향긋한 산미가 있습니다.하지만 적당한 단맛이 산미와 밸런스를 이루어 나쁘지 않습니다.코스타리카 라 이슬라 게이샤 블랙허니입니다.점액질을 일부 남겨 둔 채 건조시키는 방법인 허니 프로세스로 가공합니다.그 중에서도 거의 점액질을 제거하지 않는 블랙 허니 가공법으로 제조되었습니다.아마도 단맛은 블랙 허니 가공법의 특징인 듯 합니다.신맛과 단맛이 적절히 느껴지고 무겁지도 그렇다고 너무 가볍지도 않습니다.너무 튀지 않은 적절한 산미가 있는 커피를 즐기고 싶을 때추천할 수 있는 원두입니다.
(커피 리뷰) 케냐 오타야 칭가 퀸 AA 강하게 산미가 있거나 상큼하기만한 커피를 그다지 즐기지는 않습니다.그렇다고 커피 특유의 산미를 싫어하지는 않지만커피는 조금 더 바디감이라든지 중후한 느낌이 입안에 남아서오랫동안 맴돌았으면 하는 바램이 있는 것 같습니다.케냐 오타야 칭가 퀸 AA는 이런 바램을 만족시켜줬던 커피였습니다.커피를 마실 때 가장 잘 느껴졌던 풍미는물론 산미이기는 합니다.누군가 케냐 오타야 칭가 퀸 AA를 설명할 때 써놓았던 비유처럼토마토나 자몽의 특유의 약간 시큼 상큼한 산미가 느껴집니다.이런 산미만 가지고 있었다면 아쉬웠겠지만...다크 초코나 밀크 초코의 향이 있다고 하는데정말 적당히 묵직한 느낌의 초코 느낌 바디감이 있습니다.가볍지만은 않은 느낌이 좋습니다.가공법은 워시드이고제가 마셨던 품종은 SL28입니다.1,500M 이상..
커피는 시다. 2000년대 초반에 세계적인 커피 체인 스타벅스가국내에 들어오면서 한국에서 커피와 카페 붐이 일기 시작했죠.뒤를 이어서 국내외 할 것 없이 다양한 유명 프렌차이즈들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2000년대 후반에 와서는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의 인기에 힘입어감성카페나 개인 소규모 카페들도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는데요카페는 단순히 커피를 마시는 공간에서 대화를 하는 장소, 개인 시간을 갖는 장소 등으로변화하기 시작합니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내에서는커피의 풍미를 중요시하는 문화가 일기 시작하고강릉 커피거리 등 맛과 향의 밸런스가 잘 잡힌 스페셜티 원두나특별한 종류의 커피를 취급하는 곳도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어렸을 때만 해도 커피는 어른들이 다방에서 마시거나직장인들이 일하며 믹스커피를 타마시는 개념이었는데이..
초콜릿의 성분 : 카카오매스,카카오버터,카카오프리퍼레이션 초콜릿을 먹다보면 내가 먹고 있는 이 단맛이카카오의 단맛인지 다른 성분의 단맛인지 궁금해질 때가 있습니다.오늘은 초콜릿에 쓰이는 다양한 코코아 베이스 성분에 대해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카카오매스(코코아매스,Cacaomass) 카카오를 발효해서 만드는 초콜릿의 원료입니다. 카카오매스를 분리하면 카카오버터와 카카오 파우더로 나뉘는데 초콜릿을 만들며 이 재료들의 배합비들을 조절합니다. 카카오매스가 즉, 카카오 100%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맛보다는 카카오 특유의 쓴맛이 강하게 나죠. 이 비율이 높을수록 카카오 실제 함량이 높은 초콜릿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견과류 형태일 때 카카오닙스로도 불립니다. 카카오버터(코코아버터,Cacaobutter) 카카오매스를 분리하면 카카오버터와 카카오 파우더가 나오는데 그 중..
참치액 용도와 사용법, 추천제품 일본의 식재료 중에 가쓰오부시(かつおぶし)가 있죠일본 요리의 밑바탕이라고 할만큼 많은 곳에 사용되는 제품인데요가쓰오부시는 가다랑어를 찐 다음 훈제하고 발효시켜 건조한 포를 이야기합니다.이 가다랑어는 특유의 감칠맛과 단맛 신맛이 어우러지며이렇게 다양한 맛이 느껴짐에도 불구하고 깔끔한 국물맛을 내 줄 수 있습니다.그리고 이런 가쓰오부시 같이 포모양은 아니지만가랑어를 훈연한 훈연참치로 액을 만든 것이 참치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감칠맛을 내는 대표적인 식재료로는 미원이 있죠이런 미원처럼 원료는 다르나 감칠맛을 내줄 수 있는 마법의 식재료오늘은 참치액에 대해서 그리고 용도와 사용법도 알아보겠습니다.참치액 참치액의 원료는 훈연한 가다랑어입니다. 가다랑어는 고등어목 고등어과 다랑어족 가당랑어속에 속하는 어류로 사실 ..
렌틸콩 효능 및 부작용 콩인데 렌즈같이 납작한 양면의 모양을 하고 있는 콩이 있죠바로 랜틸콩입니다.실제로 렌즈가 이 렌틸콩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요독특한 모양새와 뛰어난 효능으로 인해 슈퍼푸드로 국내 알려진 렌틸콩오늘은 이 렌틸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렌틸콩(Lentil bean) 렌틸콩은 렌즈콩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유럽 남부와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일년생 콩과 식물입니다. 풍부한 단백질 덕분에 예로부터 식량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요. 이 렌틸콩은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에서는 널리 재배되지만 서반구에서는 자라지 않는다고 해요.효능1) 혈관건강 렌틸콩에는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노폐물과 독소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줍니다. 결과적으로 피를 맑게하고 혈압을 낮춰주며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됩니..
(슈퍼푸드) 다이어트에 좋은 귀리, 오트밀 다이어트를 하다보면 탄수화물은 정말 끊기 힘든 유혹이죠.그러다보면 쌀이나 밀가루를 대신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게 되는데요일시적으로라도 이런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귀리오늘은 10대 슈퍼푸드 중 하나인 귀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귀리 쌀과 비슷한 것이 실제로도 벼목과 벼과 귀리속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서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이며 척박한 땅에서도 파종과 재배 그리고 수확이 용이해 유럽 등지에서 많이 재배하고, 최대 산지는 러시아라고 합니다. 흔히 귀리와 오트밀이 동일한 것으로 헷갈리는 분들이 계시는 데 두 가지 개념은 다르면서도 같습니다. 일단, 귀리는 영어로 오트(Oat)입니다. 그리고 이런 귀리를 볶거나 찐 뒤, 분쇄 압착하여 만든 것이 오트밀이라고 합니다. 죽으로 많이 먹습니다. 귀리는 저렴한데 비해..
제임슨(Jameson) 처음 위스키를 입문할 때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선택지 중 하나가 제임슨 아닐까 합니다.오늘은 주류 브랜드 제임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제임슨(Jameson) 대표적인 아이리시 위스키 제품이자 회사죠. 아무 생각없이 처음 접하다가도 제임슨하면 사람 이름 같다고도 느끼셨을텐데요 맞습니다. 창업주인 존 제임슨(John Jameson, 1740-1823)의 이름을 따 제임슨을 만든 것입니다. 원래 존 제임슨의 직업은 변호사였는데요 1768년 스코틀랜드 위스키 대기업 집안의 장녀 마거릿 헤이그와 결혼하면서 주류 업계와 인연이 생겼다고 해요.  1780년에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양조장을 개업하는데 그 후 20년간 폭발적인 성장을 하여 1801년 아일랜드의 제2위 위스키 브랜드가 됩니다. 제임슨 로고는 배럴을 운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