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공학/식자재소재

(7)
소다석회유리(Soda-lime glass)의 특징과 주의사항 식기류 제조에 가장 많이 쓰이는 재질 중 하나가 유리죠.그런데 이런 유리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 사실 아셨나요?오늘은 그런 유리의 다양한 종류 중에 가장 널리 쓰이는 소다석회유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소다석회유리(Soda-Lime Glass) 이산화규소 70% 소다 15% 석회 9%로 이루어진 유리를 이야기합니다. 실용 유리 중에서 사용량이 가장 많은 대중적인 유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용도 유리컵, 유리병, 접시, 텀블러, 카페시럽 보관용기 등 다양한 종류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식기류뿐만 아니라 저렴함 덕분에 건물이나 창문 그리고 튜브, 막대, 판 등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소다석회유리는 유리창에 쓰이는 창문용 유리와 용기에 쓰이는 컨테이너 용기로 나뉩니다. 그리고 두 가지의 화학 성분은 다릅니다.특징 ..
트라이탄(Tritan) 플라스틱하면 환경호르몬이나 내분비계 교란물질 등 걱정으로 인해 사용을 꺼리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몇 해 전부터 이런 유해물질들을 방출하지 않는다고해 인기있는 소재로 사용되는 것이 바로 트라이탄(Tritan)입니다. 아기 젖병소재로도 사용될 정도로 안전하다고 하는 트라이탄 오늘은 이 트라이탄이 어떤 소재이고 유해성 논란은 따로 없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라이탄(Tritan) 트라이탄은 비스페놀 A로 인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대신 발명된 유리형 플라스틱입니다. 여기서 비스페놀 A란 BPA라고도 부르며 다양한 플라스틱 제조에 사용되는 화합물입니다. 이 비스페놀 A는 체내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모방하는 특성을 가진 제노에스트로겐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즉, 내분비계 호르몬 교란을 일으킬 수 ..
식품용 플라스틱 숫자에 따른 유해성 및 사용권장방법,추천제품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식품을 섭취하며 가장 많이 접하는 식자재 소재 중 하나가 바로 플라스틱인데요. 오늘은 이 플라스틱 하단 숫자에 따른 소재 종류와 사용권장방법 그리고 추천 제품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TE(페트,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생수병이나 음료수 병에 많이 사용 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 페트병입니다. 투명한 소재들은 재활용이 되지만 유색의 경우 변성 PET로 어떤 화학물이 들었는지 확인할 수 없어 재활용이 어렵죠. 그래서 요새는 투명과 유색 PETE를 따로 분리수거하기도 합니다.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번식할 수 있어 재사용은 가능하면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 식기류 적합 재활용도 되며 독성에도 안전한 편입니다. 밀도가 높고 단단해 외부 충격..
종이컵, 종이 빨대 유해성 '과불화화합물' 겨울이 되면 카페에서 따뜻한 음료를 주문하게 되는 사람들이 많죠. 환경을 위해서 점차 텀블러를 쓰는 사람들도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항상 챙겨다닐 수도 없다보니 자연스럽게 테이크 아웃하게 되면 종이컵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요즘, 이 종이컵과 종이 빨대가 환경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리 건강에도 유해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점 때문에 그런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과불화화합물(PFC, Poly- and Perfluorinated Compounds) 과불화화합물은 물과 기름에 쉽게 오염되지 않고 열에 강한 특징이 있는 화학물질입니다. 탄소와 불소의 강한 결합으로 이뤄져 있다보니 잘 분해되지 않고 열과 오염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일회용 종이컵이나 종이 ..
나무젓가락에 사용되는 화학 약품과 그 유독성에 대해 집안에서나 밖에서나 간단하게 배달 음식을 먹다보면 자연스럽게 일회용 수저를 사용할 때가 있죠 이는 환경뿐만 아니라 우리 건강에도 안좋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는데요 바로 나무젓가락을 만들 때 사용하는 약품 때문입니다. 나무젓가락에 사용하는 약품에는 무엇이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나무젓가락 나무를 깎아서 만든 젓가락이죠.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주로 나무를 깎아서 만든 다회용 젓가락을 의미한다고 해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짜장면을 비롯한 배달 음식을 먹을 때 자주 사용하는 나무젓가락을 연상하기가 더 쉽죠. 공산품인 나무젓가락은 주로 목재를 소독한 뒤 제작되었기 때문에 과거에는 소독저, 위생저 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나무젓가락을 소독하는 이유는 외부 환경에 의해..
식품 사용 도자기의 종류 : 뉴본, 스톤웨어, 포세린 맛있게 조리된 요리에는 그릇도 음식 못지 않게 중요한데요, 그 중에서 도자기 그릇을 사용하려고 구매하다 보면 안정성과 소재에 대해서 한 번 더 생각해보게도 됩니다. 도자기 소재에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떤 특성이 있을까요? 1. 뉴본(New bone china) 뉴본 이전에 본차이나(Bone china)에 대해서 먼저 아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본차이는 소뼈와 같은 동물성 골분(인산삼 칼슘)을 이용하여 만든 도자기 소재입니다. 본차이나의 특성은 순도가 부드럽고 투명도가 높으며 도자기가 가볍습니다. 주로 비싸기 때문에 장식품인 예술 도자기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죠. 투명한 특성때문에 전등갓 등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강도면에서는 전통적인 자기에 비해 약 3배 정도 강하며, 열에도 강하여 펄펄 끓는 물을 부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의 종류와 연마제의 유해성 주방 가위나 칼, 그릇에서 보온 밥솥 냄비까지 위생을 위해서 가장 많이 쓰는 금속 소재 중 하나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 아닐까 합니다. 이 스테인리스강은 어떤 원리로 우리가 녹을 섭취하지 않게 도와주고 식자재에 쓰이는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철강 재료의 한 종류로, 녹이 잘 슬지 않게 만든 합금강의 일종입니다. 최소 10.5 혹은 11%의 크롬이 들어가야 하며 일반 탄소강과는 다르게 크롬 산화물이 표면의 부식을 예방해 주어 전체적인 구조에 녹이 번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스테인리스강 하면 단순히 한 종류만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현재 약 150개의 등급이 있다고 합니다. 요리 기구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수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