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조리도구 재질 및 소재별 특성과 장단점 총정리
주방에서 요리를 하다보면 여러가지 소재의 조리도구들을 사용하고는 하는데요.
이런 조리도구들의 소재 특성들 얼마나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그런 궁금증들을 풀어드리기 위하요.
대표적인 조리도구의 재질과 소재 특성 및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스테인리스
녹 등 금속의 반응성을 보완한 대표적인 조리도구 소재죠. 대표적인 장점은 역시 녹이 쉽게 생기지 않는 점일 것입니다. 또한, 내열성이 강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유해물질도 나오지 않죠.
단점은 염분이 많은 식품과 장시간 접촉할 경우 손상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테인리스마다 등급이 있는데 낮은 등급의 스테인리스를 사용할 경우 녹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것도 단점입니다.
스테인리스 등급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의 종류와 연마제의 유해성
주방 가위나 칼, 그릇에서 보온 밥솥 냄비까지 위생을 위해서 가장 많이 쓰는 금속 소재 중 하나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 아닐까 합니다. 이 스테인리스강은 어떤 원리로 우리가 녹을 섭
healtyfoodlife.tistory.com
실리콘
플라스틱의 단점은 열에 취약해서 환경호르몬이 나오고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죠. 대표적으로 보완해서 대응할 수 있는 소재가 바로 이 실리콘인데요.
실리콘은 유해물질이나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을 뿐만아니라 다른 조리도구에 의한 손상도 꽤나 적은 편이죠. 다만 문제는 끈적거려서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고, 일부 음식물 색상에 변색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나무
다양한 합성소재에서 벗어나 친환경 소재를 선택하고자 할 때 대표적인게 바로 나무인데요. 나무는 합성소재가 가지지 못하는 다양한 조리도구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죠.
대표적인 장점이라고 하면 역시 열전도율이 낮은 것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 국자나 수저 그리고 공기로 뜨거운 음식물과 접촉하여도 신체까지 열이 전달되지 않아 화상이 위험도 적죠.
또한, 고열에 의해 환경 호르몬도 나오지 않고 소재 특성상 대부분 뭉특하기 때문에 다른 식자재와 접촉했을 때 손상도 적게 줍니다.
단점은 세균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세제를 잘 흡수하는 성질도 단점입니다. 그래서 자주자주 끓는 물에 소독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
대부분 가정에서는 스테인리스강 철을 사용하시기 때문에 생소하실 수 있어도 탄소강이나 무쇠로 만든 조리도구도 사용하곤 합니다.
철의 대표적인 특징은 내구성이 강하고 밀도가 높아 열 보존율이 좋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거꾸로 밀도가 높은 탓에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시간이 한 참 걸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탄소강이나 무쇠로 만든 조리도구를 잘 못 관리하게 되면 녹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알루미늄과 구리
알루미늄으로 만든 조리도구는 매우 가벼운 것이 대표적인 장점입니다. 덕분에 장시간 조리할 때도 몸에 가해질 수 있는 부하를 크게 줄여주죠.
열전도율이 높아 음식물을 빨리 데우고 식힐 수 있는 것은 알루미늄과 구리 둘 다의 장점입니다. 다만 가소성이 있어 두 소재 모두 휘어지기 쉽고, 산성 음식과 반응할 경우 금속 성분이 흘러나와 유해할수도 있답니다.
'식품공학 > 식자재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용으로 쓰기에 적합한 장갑은 무엇일까? 니트릴 VS 라텍스 장갑 완벽 비교 분석 (0) | 2025.05.12 |
---|---|
구연산, 베이킹소다, 과탄산소다 완벽 정리와 제품 선택 종결 (0) | 2024.10.18 |
파이렉스 유리, 정말 안전할까? : 역사와 내열 안전성 그리고 제품 추천까지 (0) | 2024.09.17 |
전자레인지 사용가능한 플라스틱 용기 종류 및 구매방법 (0) | 2024.08.11 |
소다석회유리(Soda-lime glass)의 특징과 주의사항 (0) | 2024.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