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공학/식품기술사

(5)
식품에서의 물(수분,Water) 물은 수소 원자 둘과 산소 원자 하나로 이루어진 화합물(H2O)이죠. 생명 활동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체성분을 만들지는 못하지만 인체의 약 70%로서 생명활동에 가장 필수적인 성분인 물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물(수분,Water) 물은 식품에서 있어서 형태와 구조 그리고 맛에 큰 영향을 주며, 함량에 따라서 식품의 품질을 좌지우지 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에너지와 체성분을 생성하는 유기물은 아니지만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필수적인 무기물입니다. 따라서 물은 생명에게도 식품에서도 필수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의 삼중점은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는 융해 곡선, 증기 압력 곡선, 승화 곡선이 만나는 점을 이야기합니다. 임계온도는 액화가 가능한 최고온..
차의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 최근 몇 년간 커피 열풍이 불면서 차(茶,tea)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차를 마시기 위해 우리다 보면 색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처럼 차의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의 역사 차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정확히는 중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에 해당하는 지역이라고 해요. 중국의 역사서에 따르면 기원전 2373년 농업과 의술의 신으로 불리던 신농이 약초의 효능을 조사하던 중 중독에 빠졌고, 이를 해독하기 위해 찻잎을 먹은데서 차의 역사가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대와 같이 음료로서 차의 역사가 시작된 것은 중국 삼국 시대(220년~280년)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삼국지의 오나라 편에 등장하는 차로 술을 대신하여 마신다는..
히스테리시스-이력현상(Hysteresis)에 대해 히스테리시스, 이력현상 또는 기역효과라고도 합니다. 이는 단순 식품뿐만 아니라 역학, 물리학, 수문학,경제학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간단한 설명으로는 "파괴된 뒤 결코 다시 회복할 수 없는 현상"인데요, 식품에서 쓰일 때는 그 의미가 유사하기도 하면서도 적용하는 사례가 다릅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식품에서의 히스테리시스는 일정한 수분 활성도(Aw)와 온도에서 수분이 탈습되었다가 다시 흡습되는 경우 전량이 돌아오지 않는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이는 탈습 과정 중에 조직을 형성하고 있던 분자 조직들이 수분이 빠져나감과 동시에 공간을 통해 수축하여 다시 흡습될 수 있는 공간을 적게 만들어 주는 것 등이 원인이 됩니다. 그래프에서와 같이 대부분 식품에 있어서 수분의 등온흡습곡선과 등..
극저온 동결(Cryogenic freezing)의 정의 및 장단점 식품의 저장 및 장기 보관을 위해 동결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큰 식품 기업체 단위에서도 사용하지만 흔히 가정에서도 소비기한이 다가오는데 소비하기가 어려운 식품이 있다면 냉동보관을 하고는 하죠 하지만 식품의 동결보관 방식이 꼭 좋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식품의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맛과 영양소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죠. 오늘은 기존의 동결(Freezing) 방식과 극저온 동결(Cryogenic freezing) 방식의 차이 및 장단점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냉동식품의 정의 냉동식품은 전처리(가공 또는 조리)한 식품을 장기 보존할 목적으로 급속 동결하여 포장 처리한 것으로, -18℃ 이하의 품온이 되도록 냉동 보관한 식품을 이야기합니다. 냉동식품이라 하면 전처리한 식품을 ..
가열살균과 비가열살균의 장단점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예방하고 안전성과 보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가공 방식에는 가열살균,건조,냉동 및 보존제 활용,PH 조정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 오늘은 열처리를 통하여 식품 보관 기간을 연장시키는 가열살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열살균은 방식이나 설비 등에 따라 그 카테고리가 세분화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식품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엄마들도 어린 영아들의 이유식을 위해 살균우유와 멸균우유의 차이점에 대해 공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오늘은 열을 가하고 가하지 않음에 따라 살균 방식을 통틀어 '가열살균'과 '비가열살균'으로 나누어 그 차이점에 중점을 두고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열살균 식품의 살균 중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열처리에 의하여 식품 중의 미생물을 사멸시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