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공학/식품기술사56

의약품 포장 방식 - PTP 포장, Alu-Alu 포장, 병 포장, 멀티팩 포장 장단점 PTP(Press Through Pacakage) 포장   PTP 포장은 1960년대부터 하기 시작한 포장 방식입니다. 일명 블리스터(Blister) 포장 방식이라고도 하는데 제품 모양으로 포장지 형태가 볼록하게 만들어져 포장하는 방식이죠. 우리가 흔히 먹는 타블렛 형 알약이 투명한 플라스틱과 은박 사이에 포장된 형태를 떠올리시면 될 것 같습니다. PTP는 Press Through Package의 약자인데요. 알약이 포장되면 한 쪽이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다보니까 눌러서 알약을 꺼내먹을 수 있게 만들었다는 데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대개 낱개로 분리가 가능하며 10~20개 정도가 1판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PTP 포장의 장점 중에 하나는 습기와 산화 등에 강하기 때문에 품질 유지에도 좋다는 것입니다..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10. 12.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유산균의 한 종류입니다. 다른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는데요. 일단 생김새는 Strepto(사슬 모양) + Coccus(구형)으로 구형이 사슬 모양으로 연결되 있는 형태이구요. Thermophilus(열) + Philus(좋아함)이라는 뜻으로 고온을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40℃ 이상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람 양성 세균이며 발효성 통성 혐기성 세균입니다. 운동성이 없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소화기관이나 비뇨기, 생식기 등에 위치하고 있구요. 발효유 제품에서 발견되어 유산균으로써 요구르트 생산에 활용되고는 합..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8. 19.
유화제와 HLB값에 대해서 유화제 혹은 계면활성제라고 하면가장 대표적으로 우리가 떠올릴 수 있는 것은 비누일 것입니다.기름 성분과 물 성분이 서로 섞이게 도와주는 것이라고 알고 계실텐데요.오늘은 이 유화제와 대표적인 특성인 HLB 값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화제(Emulsifier) 우선 유화제와 계면활성제가 같은 말인가 헷갈리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유화제가 계면활성제의 한 종류에 속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유화제(Emulsifier)는 주로 식품이나 의약품, 화장품에 쓰는 계면화성제(Surfactant)를 총칭하는 말이죠. 그렇다보니까 보편적으로 계면활성제 중에서는 식용가능하고 천연의 무해한 성분들이 많이 포함되는 편입니다. 유화제 외에도 계면활성제에는 살균제, 세제, 안정제, 거품제거제, 분산제 등이 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8. 17.
카프릴산(옥탄산, 옥타노산, Caprylic acid, Octan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릴산은 8개의 탄소 사슬로 구성된 포화지방산입니다. 다양한 포유류의 우유에서 발견되며 야자유(코코넛유)와 팜핵유의 미량성분이기도 합니다. 부탄산(낙산)이나 카프로산과 마찬가치로 약간 불쾌한 썩은 냄새와 맛을 지니며 물에 약간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녹는점은 16.7℃로 카프릴산까지가 포화지방산 짧은 사슬 지방산에서 상온 액체인 지방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6개의 탄소 사슬을 가진 카프로산과 함께 이름의 유래는 염소를 뜻하는 라틴어 "Capra"에서 왔습니다. 염소에서 이름의 유래가 온 것은 이 두 지방산들이 염소 우유의 지방 중 15%나 되는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용도 카프릴산은 카프르산과 마찬가지로 향료 및 염료 제조에 사용되는 에스터 생산에 이..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7. 31.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흔히 요거트가 장건강에 좋다고 많이 섭취하고는 하죠요거트가 좋은 점이 바로 안에 유산균이 있기 때문인데요오늘은 이런 유산균 중 대표적인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는 1905년 불가리아의 의사 Stamen Grigorov가 요거트 샘플에서 처음 분리하여 식별하였습니다. 그래서 불가리에서 발견된 유산균이라는 뜻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 유산균은 발칸 반도에 서식하는 포유류의 위장관에서도 자연적으로 발견되기도 하는데요. 현재는 제품화를 위해 전세계적으로 인공 배양되고 있습니다.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는 그람 양성 간균으로 긴 막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운동성이 없고 포자를..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7. 28.
카프로산(핵사노산, 헥산산, Caproic acid, Hexanoic acid) 카프로산은 탄소수가 6개인 포화지방산입니다.부탄산처럼 특유의 냄새가 나는 특징을 가졌는데요카프로산이 어떤 지방산인지와 용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카프로산 카프로산은 헥산산이라고도 불립니다. 그 이유는 헥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카복실산이기 때문입니다. 화학식은 CH3(CH2)4COOH이며 염소나 다른 농장 동물에서 나는 지방, 치즈, 왁스 냄새를 가진 무색의 유성 액체입니다. 다양한 동물의 유지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지방산입니다. 우리가 흔히 가을에 길을 걷다보면 은행나무 열매가 떨어져 고약한 냄새가 날 때가 있는데, 이 냄새의 구성성분 중 하나가 바로 카프로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카프로산이 단순히 고약한 냄새만 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향료를 만들 때도 사용됩니다.카프로산의 용도 카프로산은 바닐..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7. 23.
낙산균(Butyric acid bacteria) 효능 및 부작용, 추천 제품 지방과 지방산을 공부하다보면 나오는 부탄산그 부탄산을 생성하는 균이 바로 낙산균입니다.그래서, 낙산균을 Butyric acid bacteria라고 부르기도 하죠.오늘은 이런 낙산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그리고 우리 몸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낙산균(Clostridium Butyricum, Butyric acid bacteria, Butyrate-producing bacteria) 낙산균은 유산균, 비피더스균과 함께 프로바이오틱스의 한 종류입니다. 유산균과 다른 점은 위산과 소장을 거치면서도 대부분 죽지 않고 생존하여 장에서 활동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는 스스로 '아포(Spore)'를 형성하기 때문에 80℃ 이상의 고온과 사람 위 환경과 비슷한 pH2 산도에서도 60~80%의 생존..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7. 22.
부티르산(부타노산, 부탄산, Brtanoic Acid) 탄소수를 4개 가지는 지방산 '부티르산'입니다.부티르산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뷰티르산, 부타노산, 부탄산 등 다양하게 불리죠.원래 부티르산은 그리스어인 βούτῡρον(Butter를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부티르산이 어떤 지방산인지 그리고 어디서 발견되며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부티르산 버터산, 낙산이라고도 하며, 이는 버터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그렇게도 불립니다. 또한 부탄산, 뷰테이산이라고 하는 것은 탄소수가 4개이기 때문에 그렇게 부르기도 합니다. 부탄산부터 글리세롤에 붙어 지방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탄소수가 4개보다 적은 메탄산, 에탄산, 프로판산의 경우 너무 가벼워서 글리세롤이 거의 붙지 않습니다. 순수 부탄산은 독성과 부식성 그리고 악취가 있기 때문에 취..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7. 21.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앞서서 지방산을 나누는 분류 중에 대표적으로결합형태(이중결합 여부)에 따라서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으로 나눈다고 하였습니다.오늘은 포화 지방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포화 지방산 탄소가 가진 결합이 낭비(이중결합) 없이 모두 수소 원자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포화 지방산이라고 합니다. 즉, 수소가 최대치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포화되어 있다 해서 포화 지방산입니다. 화학적으로 안정한 형태이며, 고체 지방 성분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포화 지방산은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탄화수소(비극성) 부분이 많아져 물에 녹기 어려운 특성이 있습니다. 자연에 존재하는 지방산은 역시 대부분 짝수 탄소수이며 탄소수가 많을 수록 융점이 올라갑니다. 탄소수 10개 이하의 포화지방산은 실온에서 휘발성이며 액체로 존재하고, ..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7. 20.
지방산(Fatty acid) 지방산은(脂肪酸, fatty acid) 글리세롤(글리세린)과 함께 유지(지방)의 주요 구성 성분입니다.주요한 동물의 에너지원이기도 하며, 유지에서는 이런 지방산의 구성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집니다.오늘은 이런 지방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지방산(Fatty acid) 지방산은 지방족 사슬을 가진 카복실산으로 주로 자연 상태에서 생성되는 지방산은 4~36개 정도의 짝수 탄소를 가집니다. 화학적인 구조로 보자면 탄화수소 말단에 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로 탄소수는 4개 이상입니다. 보통 중성지방이 분해되어 생성됩니다. 그렇다면 탄소수가 3개 이하 짜리는 지방산으로 보지 않는가 하는 의문이 생기실 것입니다. 탄소 1개는 포름산, 탄소 2개는 아세트산, 탄소 3개는 프로피온산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글리세롤에 결합해..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7. 19.
유지(油脂) 우리가 흔히 식품으로 접하는 기름을 통틀어서 유지(油脂)라고 하지요한자의 뜻을 풀어서 해석해보자면 油(기름 유)에 脂(기름 지)를 써서 유지라고 합니다.유는 상온에서 흐르는 기름 즉, 액체유를 말한다고 보시면 되고지는 상온에서 고체인 기름 고체지를 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오늘은 이런 유지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유지(油脂, Fat and Fatty oils) 유지는 글리세롤 지방산에스터를 일컫는 말로, 단백질이나 탄수화물과 함께 생물체의 주요 성분을 이루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중성지질,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 glycerol)이라고도 하며 흔히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라고 합니다. 이런 유지는 비식용유들도 포함되는지 궁금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유지는 어디까지나 ..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4. 7. 18.
식품에서의 물(수분,Water) 물은 수소 원자 둘과 산소 원자 하나로 이루어진 화합물(H2O)이죠. 생명 활동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체성분을 만들지는 못하지만 인체의 약 70%로서 생명활동에 가장 필수적인 성분인 물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물(수분,Water) 물은 식품에서 있어서 형태와 구조 그리고 맛에 큰 영향을 주며, 함량에 따라서 식품의 품질을 좌지우지 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에너지와 체성분을 생성하는 유기물은 아니지만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필수적인 무기물입니다. 따라서 물은 생명에게도 식품에서도 필수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의 삼중점은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는 융해 곡선, 증기 압력 곡선, 승화 곡선이 만나는 점을 이야기합니다. 임계온도는 액화가 가능한 최고온..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2. 22.
차의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 최근 몇 년간 커피 열풍이 불면서 차(茶,tea)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차를 마시기 위해 우리다 보면 색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처럼 차의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의 역사 차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정확히는 중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에 해당하는 지역이라고 해요. 중국의 역사서에 따르면 기원전 2373년 농업과 의술의 신으로 불리던 신농이 약초의 효능을 조사하던 중 중독에 빠졌고, 이를 해독하기 위해 찻잎을 먹은데서 차의 역사가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대와 같이 음료로서 차의 역사가 시작된 것은 중국 삼국 시대(220년~280년)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삼국지의 오나라 편에 등장하는 차로 술을 대신하여 마신다는..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2. 11.
히스테리시스-이력현상(Hysteresis)에 대해 히스테리시스, 이력현상 또는 기역효과라고도 합니다. 이는 단순 식품뿐만 아니라 역학, 물리학, 수문학,경제학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간단한 설명으로는 "파괴된 뒤 결코 다시 회복할 수 없는 현상"인데요, 식품에서 쓰일 때는 그 의미가 유사하기도 하면서도 적용하는 사례가 다릅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식품에서의 히스테리시스는 일정한 수분 활성도(Aw)와 온도에서 수분이 탈습되었다가 다시 흡습되는 경우 전량이 돌아오지 않는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이는 탈습 과정 중에 조직을 형성하고 있던 분자 조직들이 수분이 빠져나감과 동시에 공간을 통해 수축하여 다시 흡습될 수 있는 공간을 적게 만들어 주는 것 등이 원인이 됩니다. 그래프에서와 같이 대부분 식품에 있어서 수분의 등온흡습곡선과 등..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2. 9.
극저온 동결(Cryogenic freezing)의 정의 및 장단점 식품의 저장 및 장기 보관을 위해 동결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큰 식품 기업체 단위에서도 사용하지만 흔히 가정에서도 소비기한이 다가오는데 소비하기가 어려운 식품이 있다면 냉동보관을 하고는 하죠 하지만 식품의 동결보관 방식이 꼭 좋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식품의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맛과 영양소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죠. 오늘은 기존의 동결(Freezing) 방식과 극저온 동결(Cryogenic freezing) 방식의 차이 및 장단점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냉동식품의 정의 냉동식품은 전처리(가공 또는 조리)한 식품을 장기 보존할 목적으로 급속 동결하여 포장 처리한 것으로, -18℃ 이하의 품온이 되도록 냉동 보관한 식품을 이야기합니다. 냉동식품이라 하면 전처리한 식품을 ..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1. 27.
가열살균과 비가열살균의 장단점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예방하고 안전성과 보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가공 방식에는 가열살균,건조,냉동 및 보존제 활용,PH 조정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 오늘은 열처리를 통하여 식품 보관 기간을 연장시키는 가열살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열살균은 방식이나 설비 등에 따라 그 카테고리가 세분화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식품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엄마들도 어린 영아들의 이유식을 위해 살균우유와 멸균우유의 차이점에 대해 공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오늘은 열을 가하고 가하지 않음에 따라 살균 방식을 통틀어 '가열살균'과 '비가열살균'으로 나누어 그 차이점에 중점을 두고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열살균 식품의 살균 중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열처리에 의하여 식품 중의 미생물을 사멸시켜 ..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