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공학/식품첨가물31 L-글루탐산은 무엇일까? 역할과 효능,부작용,사용식품까지 완벽정리 L-글루탐산(L-Glutamic Acid)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20가지 아미노산 중 하나입니다.우리 몸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데요.천연에서 발견되기도 하지만 맛을 내기 위한 첨가물로도 사용됩니다. 오늘은 L-글루탐산의 정의부터 역할, 효능, 부작용그리고 사용되는 식품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L-글루탐산이란 무엇일까? L-글루탐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으로, 단백질의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우리 몸의 아미노산 중 약 15%를 차지하며, 단백질의 소화, 질소 화합물의 배출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역할과 효능신경전달물질: L-글루탐산은 뇌를 비롯한 신경계에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여 신경 신호 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단백질 합성: 단백질을 구성하는..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5. 3. 14. 더보기 ›› 에리토브산나트륨은 무엇일까? 역할과 효능,부작용,사용식품까지 완벽정리 에리토브산나트륨(Sodium Erythorbate)은 식품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대표적인 산화방지제 중 하나로, 다양한 제품의 품질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첨가물 에리토브산나트륨의 정의부터 역할, 효능, 부작용그리고 사용되는 식품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에리토브산나트륨이란 무엇일까?에리토브산나트륨은 에리토브산(Erythorbic Acid)의 나트륨 염으로,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의 입체이성질체인 에리토브산이 나트륨과 결합한 형태입니다. 백색 또는 황색의 결정성 분말로 존재하며, 냄새가 없고 약간의 짠맛이 특징입니다. 물에 잘 녹고, 에탄올에는 약간 녹습니다. 역할과 효능산화방지제: 식품의 산화를 방지하여 색상, 풍미, 영양가의 저하를 막습니다. 특히 육류 제품에서 아질산염에 의한 나이..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5. 3. 13. 더보기 ››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무엇일까? 역할과 효능,부작용,사용식품까지 완벽정리 식품에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유화제 중 하나가 바로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입니다. 다양한 역할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식품 종류에 널리 사용되어큰 편의성을 제공하는데요. 오늘은 유화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역할, 효능, 부작용, 그리고 사용되는 식품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란 무엇일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글리세린과 지방산이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로, 주로 유화제로 사용됩니다. 유화제는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두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식품의 질감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역할과 효능유화 작용 : 물과 기름을 균일하게 섞어 식품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고 안정성을 높입니다.기포 형..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5. 3. 12. 더보기 ›› 말토덱스트린 역할과 효능, 부작용 그리고 덱스트린과의 차이 말토덱스트린은 다양한 가공식품에서 사용되는 성분으로운동 보충제부터 에너지 음료까지 널리 활용됩니다.오늘은 말토덱스트린의 역할과 효능, 부작용, 그리고덱스트린과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말토덱스트린이란?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은 주로 옥수수, 감자, 쌀, 타피오카 등에서 추출한 전분을 가공하여 만든 복합 탄수화물입니다. 화학적으로는 짧은 포도당 사슬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색, 무취, 물에 잘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말토덱스트린은 주로 가공식품에서 농도 조절, 점성 부여, 칼로리 보충, 감미료 대체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에너지 공급이 필요한 운동 보충제나 스포츠 음료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말토덱스트린의 역할과 효능 말토덱스트린은 다음과 같은 역할과 효능을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5. 2. 7. 더보기 ›› 대체감미료 사카린 나트륨과 뉴슈가 : 달콤한 맛의 진실 옛날 시골에서 쪄주신 옥수수에서는 특별한 달콤한 맛이 나곤 했죠.맛의 비법은 바로 뉴슈가에 있었는데요.이 뉴슈가는 대체감미료인 사카린 나트륨을 사용한 제품이지요.오늘은 이런 대체감미료 사카린 나트륨과 뉴슈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카린 나트륨과 뉴슈가 사카린은 1878년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에서 콘스탄틴 팔베르크가 콜타르를 연구하다가 우연히 발견된 물질입니다. 콘스탄틴 팔베르크는 콜타르 연구 중 저녁식사를 하다가 빵에서 단맛과 쓴맛이 나는 것을 느끼고, 그 물질의 정체를 찾다가 발견한 것이 바로 사카린입니다. 이렇게 발견된 사카린은 최초의 화학조미료이기도 합니다. 사카린은 설탕보다 약 300배 더 단 물질인데, 사카린 자체로는 물에 녹지가 않기 때문에 츄잉검에 사용되고 물에 녹는 사카린 나트륨의 형태..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0. 11. 더보기 ›› 대체감미료 네오탐 효과와 밝혀진 부작용은? 네오탐(Neotame) 네오탐은 식약처에서 허가한 대표적인 대체감미료 중에 하나입니다. 인공감미료로 역시 식약처 허가 감미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과 구조적 유사체입니다. 아스파탐은 설탕에 비해 단맛이 200배 정도 강한 것에 비해, 네오탐은 7,000~13,000배라는 엄청난 단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안정성 측면에서도 아스파탐과 유사하긴 하지만 가열 또는 유제품에서는 더 큰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특별한 냄새는 없으며 단독 혹은 다른 감미료와 같이 사용하여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취를 줄여주는 효과도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감미료에 비해 중량 대비 단맛이 상당히 강해 가성비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네오탐은 섭취시 설탕과 같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0. 4. 더보기 ›› 감초 추출 감미료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효능과 부작용은?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Disodium Glycyrrhizinate)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은 감초 뿌리에 존재하는 글리실리진산에 나트륨 두 개가 결합된 화합물입니다. 인공감미료는 아니고 감초 뿌리에서 추출된 천연유래 감미료입니다. 살짝 연한 노란빛을 띄는 흰 가루로 설탕의 약 300배의 달콤한 단맛을 후미(뒷맛)에 냅니다. 감초를 분쇄하여 물로 추출해 나온 갈색의 점성 액체를 에탄올로 다시 정제하면 얻을 수 있습니다. 식약처 허가 감미료 22종 중에는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外 유사하게 감초추출물이 있습니다. 효능 '약방에 감초'라는 말이 있듯이 감초는 자주 쓰이는 한약재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다양한 건강적 이점도 가지고 있습니다.1) 항염효과 : 감초 추출물에서 나온 리퀴리틴, 글리시리진 등의 성분의 염증을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0. 3. 더보기 ›› 감미료이자 건강기능식품인 감초추출물의 효능과 부작용 감초추출물은 대표적인 식약처 허용 대체감미료 중 하나입니다.하지만 우리가 감초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흔히 '약방의 감초'라는 말 아닐까 하는데요.감초는 옛날 약방에서 없으면 안될정도로 한약에 자주 쓰이는 성분이었다고 합니다.그 이유는 감초가 다른 약초들의 독 성분을 적당히 중화해주는 것도 있지만,단맛 성분으로 쓴맛을 적절하게 조절해주기도 했기 때문이죠.이렇게 예로부터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감초.오늘은 감미료로써 이런 감초추출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감초추출물이란? 감초 추출물이란 콩과 다년생 식물인 감초의 근경(뿌리 부분의 줄기)에 3~4% 함유된 감미 성분 트리테르페노이드 배당체를 추출 정제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를 추출해서 주로 얻어지는 성분은 글리실리진산(C42H62O16)인데..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0. 1. 더보기 ›› 대체감미료 수크랄로스 안전한 대체 감미료인가, 숨겨진 부작용이 있는가? 최근 대체감미료 중 하나로 많이 쓰이는 수크랄로스이 수크랄로스는 설탕을 반응시켜 얻는 대표적인 인공감미료 중 하나인데요오늘은 이런 수크랄로스가 어떤 화합물이고,부작용으로 제기되는 것은 어떤 것이 있는지까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수크랄로스(Sucralose) 최근 사용되는 대체감미료들은 천연감미료도 많다고 하지만, 수크랄로스는 설탕에 염소를 반응시켜 만드는 인공감미료 중 하나입니다. 설탕의 600배 단맛을 가지고 있으며, 아스파탐이나 아세설팜칼륨과 비교해도 굉장히 강한 단맛입니다. 극소량만 사용하고 흡수된 대부분도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무열량 감미료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열과 pH의 영향을 적게 받아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음식의 맛 역시 크게 바꾸지 않아 대체감미료로 굉장히 많이 쓰입니다. 대표적으로 우리..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9. 21. 더보기 ›› 대체감미료 에리스톨(Erythritol)의 효능과 부작용 에리스톨(Erythritol)은 요즘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고 있는 대체감미료 중에 하나입니다.다만, 어느 대체감미료나 그렇듯이 항상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죠.또, 다른 대체감미료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지도 궁금하실 겁니다.오늘은 이런 대체감미료 에리스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에리스톨(Erythritol) 당알코올의 한 종류로 에리트리톨이라고도 합니다. 주로 옥수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설탕을 발효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천연감미료에 가깝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감미도는 0.7 정도로 설탕의 약 5/7정도의 약간 낮은 단맛이라고 합니다. 에리스톨은 단맛뿐만 아니라 청량감이 강한 탓에 모든 식품에 다 어울리지는 않습니다. 단맛과 청량감이 들어가도 어색하지 않은 일부 음료나 과자류 종류에 많..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9. 19. 더보기 ›› 효소처리 스테비아 : 일반 스테비아와 차이점 근 몇년간 제로 칼로리, 제로 당류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활발해지면서대체감미료에 대한 수요도 자연스럽게 증가했죠.대표적인 대체감미료 중에 하나가 스테비아인데요.이런 스테비아는 천연감미료 중에 하나입니다.그렇다면 효소처리 스테비아는 이런 천연스테비아와는 다른 첨가물일까요?오늘은 효소처리 스테비아와 스테비아의 차이점 그리고 유해성까지도 알아보겠습니다. 효소처리 스테비아(α-Glucosyltransferase Treated Stevia) 스테비아는 Stevia rebaudiana라는 식물에서 단맛을 내는 부분을 추출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흔히들 천연감미료라고 이야기하는데요. 체내에서 잘 분해되지 않는 특성 덕분에 일반 당류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확히 얘기하지만 스테비아는 스테..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9. 18. 더보기 ›› 변성전분(Food Starch Modified) 식품첨가물 중 전분은 많이 들어봤는데 변성전분은 무엇인지 생소하신 분 많으실겁니다.간단히 말해 변성전분은 기존 전분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한 전분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오늘은 이런 변성전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변성전분(Food Starch Modified) 일반 전분은 밀,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 다양한 원료에서 추출되어 생산되죠. 이런 일반 전분을 물리적, 화학적, 효소적 처리를 통해 특성을 개량시킨 것을 변성전분이라고 합니다. 변성전분은 용도에 따라서 기존에 일반 전분이 가지고 있던 단점들(용해도, 유화력, 내열성, 내화학성 등)을 보완한 제품인 것이지요. 용도 변성전분은 식용, 비식용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1) 식품용 증점제와 같은 용도로도 폭 넓게 사용됩니다. 케찹, 마요네즈, 굴..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8. 13. 더보기 ›› 글리세롤(Glycerol, 글리세린) 식품첨가물에 자주 사용되는 것중 흔히 글리세롤(글리세린)이라고 불리는 물질이 있죠.우리에게 익숙한 자일리톨이과 같은 당알코올 종류에 속하는데요.오늘은 이 글리세롤의 용도나 부작용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글리세롤(Glycerol, 글리세린) 당알코올의 한 종류입니다. 미국 FDA에서는 다량영양소(단백질이나 지방이 아닌데 칼로리를 내는 것), 미국영양학회에서는 탄수화물로도 분류합니다. 물엿처럼 투명하고 끈끈하게 생긴 액체이며 분자식은 C3H5(OH)3 (Propane-1,2,3-triol)입니다. 3개의 지방산과 결합하여 유지류(트리글리세라이드)가 되는 물질이기도 합니다. 용도1) 식품 첨가물(감미료, 방부제, 증점제, 유화제 등) 글리세롤은 프로필렌글리콜과 유사한 용도로 식품에서 자주 쓰이는 첨가제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8. 7. 더보기 ››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가끔 식품 첨가물에 보면 프로필렌글리콜이라는 성분이 들어가 있는데요아무래도 식품보다는 액상 담배나 부동액에 들어가는 성분으로 더 익숙한 분이 많다보니부작용에 대해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오늘은 이 식품첨가물 프로필렌글리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은 2가 알코올인 프로판디올의 일종입니다. 1859년 디아세테이트의 가수분해물로 제조되었고, 공업적으로는 1930년경부터 미국에서 생산이 시작되었습니다. (1,2-프로판디올) 약자로는 PG라고도 합니다. 냄새는 거의 없으며 약한 단맛을 냅니다. 단맛 뿐만아니라 약한 쓴맛도 내는데 때문에 맛의 특성을 잘 알고 식품에는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며, 발효되지 않습니다...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8. 6. 더보기 ›› 구연산삼나트륨(Trisodium Citrate) 식품에 구연산이 들어가 있으면 같이 들어가 있는 첨가물 중자주 보이는 것이 이 구연산삼나트륨이죠.둘 다 구연산이라는 글자가 있다보니 같은 역할을 하는 것 아닌가 궁금하셨을텐데요.오늘은 이런 구연산삼나트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연산삼나트륨(Trisodium Citrate) 구연산삼나트륨은 구연산과 같이 흰색 분말의 가루로 시트르산 나트륨이라고도 부릅니다. 신맛이 나는 구연산과는 다르게 나트륨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교적 청량하지만 짠맛을 내게 됩니다. 구연산이 들어가는 음료에 같이 많이 사용되는데 구연산의 신맛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용도1) 스포츠 음료 등 음료에서 구연산 맛의 완화 음료에서 구연산과 함께 쓰임으로서 구연산 맛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구연산은 감귤류 등에 많이 들어있는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8. 4. 더보기 ›› 구연산(Citric acid) 가공 식품을 구매해서 표기사항을 보다보면가장 많이 보이는 첨가물 중 하나가 바로 구연산이 아닐까 합니다.구연산이라고 하면 언뜻 보기에 산(Acid)의 종류 같은데 어떤 목적으로 넣고 유해성은 없는지 궁금하셨을텐데요오늘은 구연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연산(Citric acid) 구연산 또는 시트르산이라고도 불립니다. 레몬이나 밀감 같은 과일에서 많이 찾을 수 있는 유기산 중 하나입니다. 구연산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스웨덴 화학자인 칼 빌헬름 셀레인데요. 1784년에 레몬 주스에서 처음으로 구연산을 분리했다고 해요. 참고로 구연(枸櫞)은 레몬과 유사한 과일인 귤속 시트론(Citron)이란 과일의 한자명입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레몬산이라고도 부릅니다. 상온에서는 흰색의 고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녹..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8. 3. 더보기 ›› 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요즘 유행하는 제로(Zero) 음료나 과자류 등을 먹다보면 첨가물에많이 보이는 것이 아세설팜칼륨입니다.아스파탐이나 다른 성분은 들어봤어도 아세설팜칼륨은 생소하신 분들이 많을텐데요오늘은 아세설팜칼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세설팜칼륨은 우리에게 익숙한 아스파탐이나 자일리톨처럼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감미료입니다. 아세설팜과 칼륨이 이온결합했다고 해서 아세설팜칼륨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최초의 발견은 1967년 독일 회흐스트 주식회사의 화학자 카를 클로스가 찾아냈습니다. 아세설팜칼륨은 설탕의 약 200배의 닷맛을 내는 대체감미료입니다. 이 수치는 아스파탐과 거의 비슷한데요. 아스파탐이 최근 발암물질 2B 등급을 받으며 지양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8. 2. 더보기 ›› 알룰로스(Allulose) 알룰로스(Allulose) 알룰로스는 D-사이코스라고도 하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감미료의 한 종류입니다. 단당류죠. 1940년대 밀의 잎, 무화과, 건포도, 키위 등에서 처음 발견됬다고 해요. 그런데 추출할 수 있는 그 양이 매우 적어 희소당(Rare sugar)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단맛은 설탕의 약 70% 정도인데 칼로리는 1g에 0.4kcal 정도로 대체감미료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설탕 칼로리는 1g당 약 4kcal 정도 되니 1/10 정도나 적은 칼로리인거지요.효능 아무래도 칼로리가 설탕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 보니 비만 관련 질환들에 대해 개선효과가 있습니다. 식후 혈당치 상승과 동맥경화, 내장지방 축척, 당뇨병, 비만 등을 억제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알룰로스는 장에서 수송체를 통해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6. 2. 더보기 ›› 타라검(Tara Gum) 타라검(Tara Gum) 타라검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다래과 타라(Caesalpinia spinosa) 나무 씨앗의 배유를 갈아서 얻을 수 있는 식품 첨가물입니다. 증점안정제로서 식품에서 점성 부여 및 겔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보편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증점제는 아니지만 일부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는 첨가물 중 하나입니다. 타라검은 물에 팽윤하고 가열하면 용해됩니다. 타라검 수용액은 중성으로 pH 변화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이 있습니다. 내산성, 내열성..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5. 14. 더보기 ›› 타마린드검(Tamarind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열대 아프리카 원산의 콩과 식물 타마린드(Tamarindus indica) 종자 배유에서 추출한 다당류로 만든 첨가물입니다. 증점제, 안정제 용도로 주로 사용됩니다. 원료가 되는 식물 타마린드는 종자 배유 말고도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이 되는데 잎은 동남아 지역의 민간요법 치료제나 차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열매는 콩의 일종으로 분류되어 향신료로 이용합니다. 주로 인도,동남아풍의 음식에 사용되지요. 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음식에는 '팟타이'가 있습니다.용도/특징..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5. 13. 더보기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