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감미료11 감초 추출 감미료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효능과 부작용은?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Disodium Glycyrrhizinate)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은 감초 뿌리에 존재하는 글리실리진산에 나트륨 두 개가 결합된 화합물입니다. 인공감미료는 아니고 감초 뿌리에서 추출된 천연유래 감미료입니다. 살짝 연한 노란빛을 띄는 흰 가루로 설탕의 약 300배의 달콤한 단맛을 후미(뒷맛)에 냅니다. 감초를 분쇄하여 물로 추출해 나온 갈색의 점성 액체를 에탄올로 다시 정제하면 얻을 수 있습니다. 식약처 허가 감미료 22종 중에는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外 유사하게 감초추출물이 있습니다. 효능 '약방에 감초'라는 말이 있듯이 감초는 자주 쓰이는 한약재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다양한 건강적 이점도 가지고 있습니다.1) 항염효과 : 감초 추출물에서 나온 리퀴리틴, 글리시리진 등의 성분의 염증을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0. 3. 더보기 ›› 감미료이자 건강기능식품인 감초추출물의 효능과 부작용 감초추출물은 대표적인 식약처 허용 대체감미료 중 하나입니다.하지만 우리가 감초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흔히 '약방의 감초'라는 말 아닐까 하는데요.감초는 옛날 약방에서 없으면 안될정도로 한약에 자주 쓰이는 성분이었다고 합니다.그 이유는 감초가 다른 약초들의 독 성분을 적당히 중화해주는 것도 있지만,단맛 성분으로 쓴맛을 적절하게 조절해주기도 했기 때문이죠.이렇게 예로부터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감초.오늘은 감미료로써 이런 감초추출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감초추출물이란? 감초 추출물이란 콩과 다년생 식물인 감초의 근경(뿌리 부분의 줄기)에 3~4% 함유된 감미 성분 트리테르페노이드 배당체를 추출 정제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를 추출해서 주로 얻어지는 성분은 글리실리진산(C42H62O16)인데..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0. 1. 더보기 ›› 대체감미료 수크랄로스 안전한 대체 감미료인가, 숨겨진 부작용이 있는가? 최근 대체감미료 중 하나로 많이 쓰이는 수크랄로스이 수크랄로스는 설탕을 반응시켜 얻는 대표적인 인공감미료 중 하나인데요오늘은 이런 수크랄로스가 어떤 화합물이고,부작용으로 제기되는 것은 어떤 것이 있는지까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수크랄로스(Sucralose) 최근 사용되는 대체감미료들은 천연감미료도 많다고 하지만, 수크랄로스는 설탕에 염소를 반응시켜 만드는 인공감미료 중 하나입니다. 설탕의 600배 단맛을 가지고 있으며, 아스파탐이나 아세설팜칼륨과 비교해도 굉장히 강한 단맛입니다. 극소량만 사용하고 흡수된 대부분도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무열량 감미료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열과 pH의 영향을 적게 받아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음식의 맛 역시 크게 바꾸지 않아 대체감미료로 굉장히 많이 쓰입니다. 대표적으로 우리..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9. 21. 더보기 ›› 대체감미료 에리스톨(Erythritol)의 효능과 부작용 에리스톨(Erythritol)은 요즘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고 있는 대체감미료 중에 하나입니다.다만, 어느 대체감미료나 그렇듯이 항상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죠.또, 다른 대체감미료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지도 궁금하실 겁니다.오늘은 이런 대체감미료 에리스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에리스톨(Erythritol) 당알코올의 한 종류로 에리트리톨이라고도 합니다. 주로 옥수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설탕을 발효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천연감미료에 가깝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감미도는 0.7 정도로 설탕의 약 5/7정도의 약간 낮은 단맛이라고 합니다. 에리스톨은 단맛뿐만 아니라 청량감이 강한 탓에 모든 식품에 다 어울리지는 않습니다. 단맛과 청량감이 들어가도 어색하지 않은 일부 음료나 과자류 종류에 많..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9. 19. 더보기 ›› 효소처리 스테비아 : 일반 스테비아와 차이점 근 몇년간 제로 칼로리, 제로 당류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활발해지면서대체감미료에 대한 수요도 자연스럽게 증가했죠.대표적인 대체감미료 중에 하나가 스테비아인데요.이런 스테비아는 천연감미료 중에 하나입니다.그렇다면 효소처리 스테비아는 이런 천연스테비아와는 다른 첨가물일까요?오늘은 효소처리 스테비아와 스테비아의 차이점 그리고 유해성까지도 알아보겠습니다. 효소처리 스테비아(α-Glucosyltransferase Treated Stevia) 스테비아는 Stevia rebaudiana라는 식물에서 단맛을 내는 부분을 추출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흔히들 천연감미료라고 이야기하는데요. 체내에서 잘 분해되지 않는 특성 덕분에 일반 당류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확히 얘기하지만 스테비아는 스테..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9. 18. 더보기 ›› 제로음료와 유해성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최근들어 제로 음료에 대한 논란이 많아지고 있습니다.하지만 원하는 궁극적인 결론은 대부분 동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어떻게 해야 더 건강한 섭취를 할 수가 있는가?대체감미료에 대한 갑론을박은 그 종류를 떠나 끊임없이 있어 왔습니다.대표적인 인공감미료 중 하나인 사카린의 경우에는과거 잘못된 발암성 문제로 여러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가오해가 풀리고 나서 현재는 다시 합법적으로 사용되고 있기도 하죠.아스파탐은 최근에야 발암물질 2B군으로 등재되었습니다.2022년 프랑스의 연구 결과 아스파탐 섭취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암발생률이 높았다는 것이 근거였죠.물론, 기전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었습니다.자일리톨은 미국 심혈관 및 대사 과학 의장 Stanley Hazen 박사가혈소판 활성화 능력이 있어 현전을.. 사설 2024. 8. 10. 더보기 ›› 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요즘 유행하는 제로(Zero) 음료나 과자류 등을 먹다보면 첨가물에많이 보이는 것이 아세설팜칼륨입니다.아스파탐이나 다른 성분은 들어봤어도 아세설팜칼륨은 생소하신 분들이 많을텐데요오늘은 아세설팜칼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세설팜칼륨은 우리에게 익숙한 아스파탐이나 자일리톨처럼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감미료입니다. 아세설팜과 칼륨이 이온결합했다고 해서 아세설팜칼륨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최초의 발견은 1967년 독일 회흐스트 주식회사의 화학자 카를 클로스가 찾아냈습니다. 아세설팜칼륨은 설탕의 약 200배의 닷맛을 내는 대체감미료입니다. 이 수치는 아스파탐과 거의 비슷한데요. 아스파탐이 최근 발암물질 2B 등급을 받으며 지양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8. 2. 더보기 ›› 자일리톨 부작용 이슈 - 심장마비와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 야기 자일리톨하면 이제 식품관련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국내에선 익숙한 단어가 되었죠.설탕 대체 감미료보다는 자일리톨 껌으로 더 익숙하실 텐데요.충치예방 껌을 컨셉으로 국내에 들어온 자일리톨은 2000년 이후 꾸준히 판매되고 있습니다.그런데 최근 이런 자일리톨이 심혈관 질환을 야기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합니다.해당 내용에 대해서 오늘은 알아보겠습니다. 자일리톨(Xylitol) 당알코올의 한 종류입니다. 당알코올은 당 유도체로서 달콤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인데, 알코올이 붙다보니 술과 같아 취할 염려가 있는가 하고 오해하실 수도 있지만 그 알코올과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당알코올의 특징이라고 하면 설탕 같은 당류와는 다르게 인체에서 대사가 되지 않다보니 칼로리가 낮아 대체 감미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자일리톨의 .. 식품관련 핫이슈 2024. 7. 30. 더보기 ›› 아스파탐 발암물질 2B군 등재, 아스파탐은 정말로 해로운 물질인가? 다이어트와 웰빙에 대한 수요가 당연해지면서설탕 대신 Zero 칼로리 대체감미료에 대한 니즈가 늘어나고 있는데요대표적인 대체감미료 중 하나가 바로 아스파탐입니다.소주와 막걸리에도 자주 사용되는 아스파탐오늘은 이 아스파탐이 무엇이고 정말로 해로운 물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아스파탐(Aspartame)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 단맛을 낸다고 하는 인공감미료입니다. 처음부터 인공감미료 목적으로 개발된 것은 아니었고 미국의 G. D. Searle & Company에서 근무하던 제임스 M. 슐레터라는 화학자가 위궤양 치료약을 개발하던 중 단맛이 나는 물질을 우연히 발견하게 된 것이 그 시초라고 합니다. 이후 미원으로 유명한 일본의 아지노모도社에서 대량 양산하기 시작하여 지금처럼 널리 공급되게 되었습니다. 한국.. 식품관련 핫이슈 2024. 7. 27. 더보기 ›› 알룰로스(Allulose) 알룰로스(Allulose) 알룰로스는 D-사이코스라고도 하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감미료의 한 종류입니다. 단당류죠. 1940년대 밀의 잎, 무화과, 건포도, 키위 등에서 처음 발견됬다고 해요. 그런데 추출할 수 있는 그 양이 매우 적어 희소당(Rare sugar)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단맛은 설탕의 약 70% 정도인데 칼로리는 1g에 0.4kcal 정도로 대체감미료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설탕 칼로리는 1g당 약 4kcal 정도 되니 1/10 정도나 적은 칼로리인거지요.효능 아무래도 칼로리가 설탕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 보니 비만 관련 질환들에 대해 개선효과가 있습니다. 식후 혈당치 상승과 동맥경화, 내장지방 축척, 당뇨병, 비만 등을 억제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알룰로스는 장에서 수송체를 통해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6. 2. 더보기 ›› 자일리톨 효능과 부작용 우리나라에서 자일리톨하면 가장 우선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것은 아마 롯데 자일리톨 껌 아닐까 싶습니다. 자일리톨 껌은 1997년 일본 롯데에서 먼저 판매되기 시작하여 국내 롯데웰푸드에서 판매하기 시작하였는데요 '핀란드에서는 자기 전에 씹는 껌' '충치를 예방하는 껌' 등의 새로운 컨셉으로 신규 껌 시장에 성공적인 진입을 성공했죠 사실 자일리톨하면 이처럼 충치를 예방하는 껌 정도로 생각할 수 있지만 설탕을 대체하는 천연감미료의 한 종류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런 자일리톨은 어떤 첨가물이고 효능과 부작용은 어떠하며 대표적인 제품은 뭐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일리톨(Xylitol) 자일리톨은 환원 5탄당류로서 대부분 과일, 채소류 등에 존재하며 인체에도 존재하는 천연감미료입니다.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자일리톨..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 5.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