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요타 생산 방식(TPS)의 7대 손실

타스파 2025. 3. 18.

도요타-생산-방식
도요타 생산 방식

 

도요타 생산 방식(TPS)의 7대 손실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요소들을 제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의된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PS의 7대 손실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과잉 생산의 손실 (Overproduction)

 필요한 양 이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고 증가, 보관 비용 상승, 품질 저하, 자금 회전율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판매 예측을 잘못하여 필요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거나, 다음 공정의 작업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과도하게 생산하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2. 재고의 손실 (Inventory)

 필요 이상으로 자재나 제품을 보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도한 재고는 보관 공간 부족, 관리 비용 증가, 자금 압박, 품질 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예를 들어, 자재를 대량으로 구매하여 창고에 보관하거나, 생산 계획과 실제 생산량의 차이로 인해 제품 재고가 쌓이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3. 운반의 손실 (Transportation)

 불필요한 운반 작업이나 이동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시간 낭비, 운반 비용 발생, 파손 위험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공장 레이아웃이 비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운반 거리가 길어지거나, 운반 횟수를 줄이기 위한 적재 계획 없이 운반하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4. 가공의 손실 (Processing)

 불필요한 가공이나 과도한 품질 기준으로 인한 손실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간 낭비, 에너지 낭비, 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초래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요구하지 않는 불필요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과도하게 높은 품질 기준을 설정하여 불필요한 작업을 하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5. 대기의 손실 (Waiting)

 작업자가 다음 작업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력 낭비, 생산성 저하, 리드 타임 증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예를 들어, 이전 공정의 지연으로 인해 다음 공정의 작업자가 대기하거나, 필요한 자재나 정보가 제때 공급되지 않아 작업자가 대기하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6. 동작의 손실 (Motion)

 작업자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작업 시간 증가, 피로도 증가, 작업 효율 저하 등의 문제를 유발합니다. 예를 들어, 작업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이동하거나, 작업 도구가 정리되지 않아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7. 불량의 손실 (Defects)

 불량품 생산으로 인한 손실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작업, 폐기, 고객 불만족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불량품이 발생하거나, 설비 불량이나 공정 오류로 인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