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 음식은 어떻게 몸에 해로운걸까?

가끔씩 음식을 사다놓거나 조리하고나면
생각보나 많이 남아 난감한 경우들도 많으시죠?
상한건지 긴가민가한데 아까워서 먹어야 하는 분들도 있으실거에요
하지만 상한 음식은 잘못먹으면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줄 수가 있답니다.
대부분 균이나 박테리아 등에 의한 감염을 원인으로 볼 수가 있는데요.
오늘은 상한 음식을 먹으면 왜 몸에 해로운지에 대해
그리고 종류별 예방법까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상한 음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음식이 부패하면 세균, 독소가 생성되어 건강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식중독: 상한 음식 속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대장균이 감염을 유발.
- 위장 장애: 부패된 음식은 설사, 구토, 복통을 유발할 수 있음.
- 장기 손상: 일부 독소는 신장, 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
이제 각 음식 카테고리별 부패의 위험성과 예방 방법을 알아볼게요.
1. 육류 및 생선
상한 고기와 생선은 병원성 박테리아의 온상이 될 수 있습니다.
- 부패 시 위험 요소: 살모넬라,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 증상: 심한 복통, 구토, 발열, 심할 경우 패혈증.
- 예방 방법: 냉장(0~4°C) 또는 냉동(-18°C 이하) 보관, 해동 후 재냉동 금지.
2. 유제품
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은 리스테리아균에 쉽게 오염될 수 있습니다.
- 부패 시 위험 요소: 리스테리아, 곰팡이, 황색포도상구균.
- 증상: 발열, 근육통, 심할 경우 신경계 이상.
- 예방 방법: 유통기한 확인, 5°C 이하 냉장 보관, 개봉 후 빠르게 소비.
3. 곡류 및 빵
빵과 쌀 등 곡류는 곰팡이와 마이코톡신(곰팡이 독소)이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 부패 시 위험 요소: 곰팡이균, 아플라톡신.
- 증상: 간 손상, 발암 가능성.
- 예방 방법: 서늘한 곳 보관, 곰팡이가 핀 부분은 전체 폐기.
4. 조리된 음식
조리 후 상온에 두면 박테리아 증식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부패 시 위험 요소: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루스 세레우스.
- 증상: 구토, 설사, 탈수.
- 예방 방법: 2시간 내 냉장 보관, 냉장 보관 후 3일 이내 섭취.
5. 과일 및 채소
상한 과일과 채소는 곰팡이와 독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부패 시 위험 요소: 마이코톡신, 살모넬라.
- 증상: 간 손상, 소화기 장애.
- 예방 방법: 냉장 보관, 상한 부분이 있다면 전체 폐기.
마무리
상한 음식은 세균, 곰팡이, 독소를 포함하여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특히 식중독, 위장 장애, 장기 손상 등의 위험이 따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음식 보관법을 철저히 지키고, 유통기한을 확인하며, 의심되는 음식은 과감히 버리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다음글도 참고해보세요.
곰팡이 핀 바나나 도려내고 먹어도 될까?
맛도 있는데 다이어트에 좋아 자주 찾게 되는 과일 중 하나가 바나나죠.하지만 짧은 보관기간과 곰팡이 문제때문에 골치아프신 분들 많으실텐데요오늘은 하얀곰팡이가 핀 바나나를 먹어도 되
healtyfoodlife.tistory.com
캔 음료 입구를 씻어 사용해야 하는 이유 - 소독제
무더운 여름철 자판기에 있는 캔 콜라나 사이다를 구매해 바로 따서 마시는 것만큼 갈증해소에 도움되는 게 없죠. 하지만 이런 캔 음료 앞으로는 바로 마시지 말고 꼭 입구를 세척해 드셔야한다
healtyfoodlife.tistory.com
나이가 들수록 단백질 보충이 더 필요한 이유와 보충 방법 (권장량,팁) (0) | 2025.04.06 |
---|---|
똑같은 고기인데 햄은 왜 몸에 안좋다고 할까? (0) | 2025.04.03 |
산패된 기름은 왜 몸에 해로울까? (0) | 2025.03.30 |
로즈마리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섭취할 수 있는 방법까지 총정리 (0) | 2025.03.24 |
짜장면 같은 중국음식을 먹으면 졸린 이유? 차이니즈 레스토랑 신드롬(Chinese restaurant syndrome)이란 무엇일까? (0) | 2025.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