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주가 어떨 때는 달고 어떨 때는 쓰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타스파 2025. 4. 8.

소주가 어떨 때는 달고 어떨 때는 쓰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소주를 마실 때 어떤 날은 달고, 어떤 날은 쓰게 느껴질 때가 있죠.
누구는 농담으로 일이 힘든 날은 더 쓰게 느껴진다고도 하지만,
도대체 왜 같은 브랜드의 같은 소주인데도 차이가 나는걸까요?

여기에는 개인의 컨디션도 물론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다양한 화학적이나 유전적 요인도 관계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소주의 맛이 날마다 왜 다르게 느껴지는가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감미료의 사용

 현대의 희석식 소주는 알코올의 쓴맛을 줄이고 부드러운 맛을 내기 위해 감미료를 첨가합니다. 그런데 감미료 중 일부는 빛이나 열에 의해서 맛이 변할 수 있다고 하네요.

  •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과당 등이 소주의 단맛을 결정
  • 감미료가 많이 첨가된 제품일수록 부드럽고 달게 느껴짐
  • 일부 감미료의 변질(빛, 열에 의한 분해)로 인해 쓴맛이 강해질 수 있음

 

2. 알코올 도수와 에탄올 함량

 소주의 도수가 낮아지면서 부드러운 맛을 내기 위해 알코올 함량이 조절됩니다. 브랜드나 제품별로 다른 도수에 따라 그날 마신 소주의 쓴 맛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이죠.

  • 일반적으로 알코올 도수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달게 느껴짐
  • 고도수 소주는 에탄올 함량이 높아져 쓴맛이 강해짐
  • 에탄올이 휘발되면서 개인의 체감 맛도 달라질 수 있음

 

3. 개인의 유전자 차이

 사람마다 쓴맛을 감지하는 유전자(TAS2R38)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소주도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옆 사람과 단맛, 쓴맛의 차이가 다르게 느껴지는 건 이 탓일 수 있다고 하네요.

  • 쓴맛 유전자(TAS2R38)에 민감한 사람 → 소주가 더욱 쓰게 느껴짐
  • 민감하지 않은 사람 → 부드럽고 달게 인식
  • 같은 제품도 개인별 차이가 큼

 

4. 체내 컨디션 및 음식 조합

 소주를 마실 때 몸 상태와 음식 조합에 따라 맛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먹는 음식이나 그날의 피로도에 따라 술맛이 달라질 수 있는거죠.

  • 입안의 단맛 → 상대적으로 소주가 쓰게 느껴질 수 있음
  • 기름진 음식과 함께 마실 경우 → 소주가 부드럽게 느껴짐
  • 몸이 피로하거나 숙취가 있는 상태 → 쓴맛이 더 강하게 느껴질 가능성

 

5. 보관 상태와 온도

소주의 보관 온도와 환경이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차게 보관된 소주는 특유의 쓴맛을 더 부드럽게 만들어 줄 수 있답니다.

  • 찬 소주는 알코올의 강한 맛을 줄여 부드럽게 느껴짐
  • 실온 보관 소주는 에탄올 향이 강해져 쓴맛이 부각될 수 있음
  • 빛과 열에 오래 노출된 소주는 감미료가 변질되면서 쓴맛이 증가할 가능성

 

마무리

 소주의 맛은 감미료의 종류, 알코올 도수, 개인의 유전자, 컨디션, 보관 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소주의 쓴맛에 대해서 인생의 무게라고 이야기하는 친구에게 과학적인 사실을 전달해주세요ㅎㅎ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