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공학128

글루타치온 효능과 부작용 최근 건강기능식품으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것 중 하나가 글루타치온입니다.Glutathione, 글루타치온 또는 클루타티온이라고도 하는데요이는 아미노산 중합체의 일종으로 대표적인 항산화제 중 하나입니다.그렇다면 어떤 효능이 있고 부작용은 또 어떤 게 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루타치온 글루타치온은 인체의 간에 대량으로 존재하는 대표적인 강력한 항산화 물질입니다. 비타민G로도 부르기도 하지요. 1888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지만 1975년에 뒤늦게 그 효과가 알려지며 건강을 강화시켜 주는 영양소로 각광받기 시작하였습니다.글루타치온의 효능 글루타치온의 대표적인 효능은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안전하게 배출하는 것입니다.멜라닌 색소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진 유명한 백옥 주.. 식품공학/건강기능식품 2024. 5. 8.
소르브산 칼륨(Potassium Sorbate) 소르브산 칼륨(Potassium Sorbate) 소르브산 칼륨은 곰팡이와 효모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보존제 중 하나입니다. 인공적인 화합물은 아니고 일부 식품과 블루베리 등 베리류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화합물의 한 종류입니다. 물에 잘 용해되지 않고, 알코올과 아세톤, 프로필렌클리콜, 에테르, 빙초산 등에 쉽게 용해됩니다. 쉽게 승화되는 무색 고체로 수용액은 가열하더라도 일부가 휘산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적용범위는 주로 효모와 곰팡이로 세균은 선택적으로만 작용합니다. 또한, 식품의 pH가 낮을수록 소브산의 항균효과는 증가합니다. pH 5.0을 기준으로 효과성이 나눠지며 pH 7.0 이상에서는 거의 효과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국내 식품 사용기준에는 소르브산 칼륨이 사용 허가된 제품군이..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5. 5.
디하이드로초산 나트륨 디하이드로 초산나트륨은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여 식품의 보관기간을 연장시키는 보존제로 치즈나 버터, 마가린 등의 유제품에 한정적으로 쓰이는 첨가물입니다. 물에 잘 녹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곰팡이나 효모, 호기성균에 대해 발육을 저해하는 효과가 뛰어납니다. 산성형 보존료로 항균 효과는 낮은 pH에서 더 극대화 됩니다. 치즈, 버터, 마가린에 0.5g/kg 이하를 사용해야 하며 치즈에는 0.1~0.2% 수용액 또는 알코올에 녹여서 분무해야합니다. 버터, 마가린 등에는 소금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상기와 같은 유제품들은 지방뿐만 아니라 수분도 어느정도 함유하고 있는 종류이기 때문에 곰팡이가 피기 쉬워 보존료가 필요합니다. 형태는 흰색의 결정성 가루로 냄새가 거의 없습니다. 물이나 프로필렌글리콜, ..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4. 29.
트라이탄(Tritan) 플라스틱하면 환경호르몬이나 내분비계 교란물질 등 걱정으로 인해 사용을 꺼리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몇 해 전부터 이런 유해물질들을 방출하지 않는다고해 인기있는 소재로 사용되는 것이 바로 트라이탄(Tritan)입니다. 아기 젖병소재로도 사용될 정도로 안전하다고 하는 트라이탄 오늘은 이 트라이탄이 어떤 소재이고 유해성 논란은 따로 없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라이탄(Tritan) 트라이탄은 비스페놀 A로 인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대신 발명된 유리형 플라스틱입니다. 여기서 비스페놀 A란 BPA라고도 부르며 다양한 플라스틱 제조에 사용되는 화합물입니다. 이 비스페놀 A는 체내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모방하는 특성을 가진 제노에스트로겐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즉, 내분비계 호르몬 교란을 일으킬 수 .. 식품공학/식자재소재 2024. 3. 13.
진통제 차이(타이레놀 아세트 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및 상태에 따른 추천 바쁘게 살아가다보면 야근이나 잦은 회식에 치여 두통도 가끔 앓게 되고 때로 면역력이 떨어지면 감기같은 간단한 질병들도 겪게 되죠. 이럴 때 어떤 진통제가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알아두면 좋지 않을까해서 오늘은 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진통제의 종류와 추천 복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아세트 아미노펜(타이레놀) 우리가 가장 무난하게 접하는 진통제 타이레놀이 바로 아세트 아미노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효과가 강력한 편은 아니지만 진통과 해열에 대한 적용 범위가 넓고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처방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고, 편의점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작용으로는 간독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절대 술과 같이나 음주 후에 복용하는.. 식품공학/의약품 2024. 3. 7.
식품용 플라스틱 숫자에 따른 유해성 및 사용권장방법,추천제품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식품을 섭취하며 가장 많이 접하는 식자재 소재 중 하나가 바로 플라스틱인데요. 오늘은 이 플라스틱 하단 숫자에 따른 소재 종류와 사용권장방법 그리고 추천 제품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TE(페트,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생수병이나 음료수 병에 많이 사용 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 페트병입니다. 투명한 소재들은 재활용이 되지만 유색의 경우 변성 PET로 어떤 화학물이 들었는지 확인할 수 없어 재활용이 어렵죠. 그래서 요새는 투명과 유색 PETE를 따로 분리수거하기도 합니다.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번식할 수 있어 재사용은 가능하면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 식기류 적합 재활용도 되며 독성에도 안전한 편입니다. 밀도가 높고 단단해 외부 충격.. 식품공학/식자재소재 2024. 2. 20.
구아검(Guar gum) 구아검 구아검은 인도와 파키스탄 등의 일년색 콩과실물 구아 종자의 배유를 분쇄하거나 온수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성분입니다. 주성분은 만노스와 갈락토스로 냉수에 쉽게 용해되어 점섬이 매우 높은 용액이 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약간 옅은 황백색으로 냄새가 거의 없는 분말 형태이며 증점제, 안정제, 유화제 등으로 사용됩니다. 효능 1) 변비 개선 구아검은 장에 좋은 유익균을 잘 자라게 하는 프리바이오틱스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여 변비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젤 형태로 수분을 머금고 있던 구아검이 대장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변비를 개선시켜 줍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하루 4.6g만 먹어도 장내 유익균 증식에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구..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 31.
한천(Agar, 우뭇가사리) 한천(Agar, 우뭇가사리) 한천은 우뭇가사리(Gelidium)나 꼬시래기(Gracilaria) 등의 홍조류로부터 추출한 물질입니다. 주성분은 중성다당류인 Agarose와 산성 다당류인 Agaropect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0℃ 이상의 온도에서 완전 용해되고, 용해된 수용액은 상온에서 겔 상태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죠. 식품으로서의 특징은 특별한 맛이 없고, 소화가 어려운 탄수화물과 섬유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열량이 상당히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곤약과 비슷하게 다이어트 식품에 많이 이용됩니다. 용도 젤리나 양갱 같은 디저트 종류에 많이 사용됩니다. 묵이나 다른 식품에도 종종 이용되며 식품 이외 다른 용도로도 활용됩니다. 미생물들이 자라기에 좋은 당류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미생물 배..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 22.
인공감미료 아스파탐(Aspartame)의 뚜렷하게 밝혀진 부작용? 꾸준히 유행하는 다이어트와 저칼로리 음료 열풍으로 이제는 누구나 한 번쯤은 제로슈거 음료를 드셔보셨을 텐데요 설탕이 없으면서도 단 맛을 내기 위해 이런 음료에는 아스파탐 등의 인공 감미료가 들어가고는 하죠 오늘은 이렇게 사용되는 인공감미료 중 가장 대표적인 아스파탐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 부작용에 대해서도 확인해보겠습니다. 아스파탐(Aspartame) 설탕의 200배의 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입니다. 원래 이 아스파탐은 인공감미료를 목적으로 개발하던 중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1965년 현재는 화이자에 합병된 G.D Searle & Company에 근무중이던 화학자 제임스 M 슐래터가 위궤양에 치료할 약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물질을 합성하던 중 발견합니다. 해당 물질을 연구하던 중 손에..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 20.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고점도의 물성을 얻기위한 증점제로 쓰이는 첨가물입니다. 친수성이 높은 고분자 전채질로서 물에 쉽게 용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감태, 미역, 다시마 등의 갈조류로 부터 추출하죠. PH 6~9 사이에서 안정적이며 60℃ 이ㅏ상이 되면 점도가 점점 낮아집니다. 용도 아이스크림의 안정제나 케첩, 마요네즈, 소스 등의 점착제 등으로 쓰입니다. 뿐만 아니라 청주의 청징제, 겔화제, 유화제, 증점제 등으로도 사용됩니다. 면류의 노화방지 및 농축오렌지와 맥주거품의 안정제 등으로도 쓰이기도 하며 육류의 피막과 쨈과 젤리의 겔 형성에도 사용됩니다. 분자요리에도 이용되는데요, 바로 캐비어를 만들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스포이드 등으로 짜내어 캐비어처럼 둥글둥글한 모양을..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 12.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로커스트 콩검은 증점제이자 겔화제입니다. 식품의 점도와 촉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러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지중해 연안에서 자라는 다년생 상록수 캐롭나무(Carob tree)의 종자인 메뚜기 콩(Ceratonia sp.)이 로커스트콩검을 만드는 원료입니다. 주성분은 만노스와 갈락토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냉수에서 일부 용해되기도 하나 70℃ 이상이 되어야 완전하게 용해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높은 온도에서 녹게 되면 투명하면서도 수분 보유력이 뛰어난 점액질로 변합니다. 0.5%에서는 겔을 형성하며 5%에서는 페이스트 상태로 됩니다. 변질이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른 다당류와 함께 많이 사용합니다. 부패되면 점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특성이 있습..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 10.
종이컵, 종이 빨대 유해성 '과불화화합물' 겨울이 되면 카페에서 따뜻한 음료를 주문하게 되는 사람들이 많죠. 환경을 위해서 점차 텀블러를 쓰는 사람들도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항상 챙겨다닐 수도 없다보니 자연스럽게 테이크 아웃하게 되면 종이컵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요즘, 이 종이컵과 종이 빨대가 환경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리 건강에도 유해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점 때문에 그런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과불화화합물(PFC, Poly- and Perfluorinated Compounds) 과불화화합물은 물과 기름에 쉽게 오염되지 않고 열에 강한 특징이 있는 화학물질입니다. 탄소와 불소의 강한 결합으로 이뤄져 있다보니 잘 분해되지 않고 열과 오염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일회용 종이컵이나 종이 .. 식품공학/식자재소재 2024. 1. 7.
자일리톨 효능과 부작용 우리나라에서 자일리톨하면 가장 우선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것은 아마 롯데 자일리톨 껌 아닐까 싶습니다. 자일리톨 껌은 1997년 일본 롯데에서 먼저 판매되기 시작하여 국내 롯데웰푸드에서 판매하기 시작하였는데요 '핀란드에서는 자기 전에 씹는 껌' '충치를 예방하는 껌' 등의 새로운 컨셉으로 신규 껌 시장에 성공적인 진입을 성공했죠 사실 자일리톨하면 이처럼 충치를 예방하는 껌 정도로 생각할 수 있지만 설탕을 대체하는 천연감미료의 한 종류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런 자일리톨은 어떤 첨가물이고 효능과 부작용은 어떠하며 대표적인 제품은 뭐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일리톨(Xylitol) 자일리톨은 환원 5탄당류로서 대부분 과일, 채소류 등에 존재하며 인체에도 존재하는 천연감미료입니다.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자일리톨..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4. 1. 5.
나무젓가락에 사용되는 화학 약품과 그 유독성에 대해 집안에서나 밖에서나 간단하게 배달 음식을 먹다보면 자연스럽게 일회용 수저를 사용할 때가 있죠 이는 환경뿐만 아니라 우리 건강에도 안좋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는데요 바로 나무젓가락을 만들 때 사용하는 약품 때문입니다. 나무젓가락에 사용하는 약품에는 무엇이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나무젓가락 나무를 깎아서 만든 젓가락이죠.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주로 나무를 깎아서 만든 다회용 젓가락을 의미한다고 해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짜장면을 비롯한 배달 음식을 먹을 때 자주 사용하는 나무젓가락을 연상하기가 더 쉽죠. 공산품인 나무젓가락은 주로 목재를 소독한 뒤 제작되었기 때문에 과거에는 소독저, 위생저 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나무젓가락을 소독하는 이유는 외부 환경에 의해.. 식품공학/식자재소재 2024. 1. 3.
식품에서의 물(수분,Water) 물은 수소 원자 둘과 산소 원자 하나로 이루어진 화합물(H2O)이죠. 생명 활동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체성분을 만들지는 못하지만 인체의 약 70%로서 생명활동에 가장 필수적인 성분인 물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물(수분,Water) 물은 식품에서 있어서 형태와 구조 그리고 맛에 큰 영향을 주며, 함량에 따라서 식품의 품질을 좌지우지 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에너지와 체성분을 생성하는 유기물은 아니지만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필수적인 무기물입니다. 따라서 물은 생명에게도 식품에서도 필수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의 삼중점은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는 융해 곡선, 증기 압력 곡선, 승화 곡선이 만나는 점을 이야기합니다. 임계온도는 액화가 가능한 최고온..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2. 22.
베타카로틴(β-Carotene) 베타카로틴(β-Carotene) 베타카토린은 균류와 식물 그리고 과일에 풍부한 적황색 유기 색소입니다. 베타카로틴이 들어있는 대표적인 식품은 당근, 토마토, 시금치, 고추, 쑥갓, 망고, 늙은 호박, 케일, 블로콜리, 파파야, 키위, 살구, 콜라드, 순무 등이 있죠. 카로티노이드의 종류 중 하나인데 카로티노이드는 대부분 광합성 식물과 동물에게서 볼 수 잇는 색소로 빨간색, 주황색 또는 노란색 계열의 색소군 등이 있습니다. 카로티노이드는 베타카로틴뿐만 아니라 알파카로틴(α-Carotene), 루테인(Lutein), 라이코펜(Lycopene), 크립토잔틴(Cryptoxanthin), 지아잔틴(Zeaxanthin)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카로티노이드는 몸에 좋은 효과들을 가지고 있죠. 그렇다면 베타카로..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3. 12. 20.
식품 사용 도자기의 종류 : 뉴본, 스톤웨어, 포세린 맛있게 조리된 요리에는 그릇도 음식 못지 않게 중요한데요, 그 중에서 도자기 그릇을 사용하려고 구매하다 보면 안정성과 소재에 대해서 한 번 더 생각해보게도 됩니다. 도자기 소재에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떤 특성이 있을까요? 1. 뉴본(New bone china) 뉴본 이전에 본차이나(Bone china)에 대해서 먼저 아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본차이는 소뼈와 같은 동물성 골분(인산삼 칼슘)을 이용하여 만든 도자기 소재입니다. 본차이나의 특성은 순도가 부드럽고 투명도가 높으며 도자기가 가볍습니다. 주로 비싸기 때문에 장식품인 예술 도자기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죠. 투명한 특성때문에 전등갓 등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강도면에서는 전통적인 자기에 비해 약 3배 정도 강하며, 열에도 강하여 펄펄 끓는 물을 부어.. 식품공학/식자재소재 2023. 12. 18.
위 건강에 좋은 음식 양배추,양배추즙 효능 및 부작용 대한민국 직장인이라면 잦은 야근에 회식으로 위장관 장애는 하나씩 달고 살지 않나 싶습니다. 건강을 생각해서라면 사실 덜 마시고 푹 쉬는 게 좋겠지만 그렇게 하기 쉽지 않은게 현실이고 대안으로 몸에 가장 좋은 특히, 원물에 가까운 제품이 뭐가 있나 찾기 마련입니다. 그러 면에서 양배추즙은 좋은 대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양배추 원물을 자주 생으로나 쪄서 먹으면 좋지만 보관 문제도 있고 늘 하기가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죠. 오늘은 이렇게 위 건강을 위해서 먹는 양배추와 양배추즙이 어떤 효능이 있고 부작용은 또 어떠하며 추천할 만한 제품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배추 양배추는 서양의 배추라는 뜻으로 지중해, 소아시아가 원산지입니다. 양배추 잎이 가죽처럼 두꺼운 이유는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식품공학/건강기능식품 2023. 12. 17.
카라기난(Carrageenan) 다양한 간식들을 먹을 때 풍미뿐만 아니라 독특한 제품의 식감도 우리 입을 즐겁게 하는 요소 중 하나죠. 초콜릿이나 아이스크림 등에 끈끈한 식감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 카라기난과 논란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카라기난(Carrageenan) 홍조식물에서 채취하는 다당류로 고무 모양의 물질입니다. 홍조식물은 조류로 분류되는 원생생물의 한 갈래로, 전 세계에 약 600속 2,000종 정도가 있다고 합니다. 모두 분홍색이나 암홍색 색소체를 가져, 광합성 작용에 의해 홍조 녹말을 만듭니다. 약 600년 전부터 아일랜드 남부 해안 지방에서 채취되어 카라기난으로 사용되어 왔다고 하네요. 뜨거운 물 또는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추출한 다음, 정제하여 사용합니다. 용도는 증점제,겔화제,안정제,유화제입니다... 식품공학/식품첨가물 2023. 12. 13.
차의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 최근 몇 년간 커피 열풍이 불면서 차(茶,tea)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차를 마시기 위해 우리다 보면 색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처럼 차의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갈변물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의 역사 차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정확히는 중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에 해당하는 지역이라고 해요. 중국의 역사서에 따르면 기원전 2373년 농업과 의술의 신으로 불리던 신농이 약초의 효능을 조사하던 중 중독에 빠졌고, 이를 해독하기 위해 찻잎을 먹은데서 차의 역사가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대와 같이 음료로서 차의 역사가 시작된 것은 중국 삼국 시대(220년~280년)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삼국지의 오나라 편에 등장하는 차로 술을 대신하여 마신다는..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3.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