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9 도축없이 만들어진 고기가 있다? 배양육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걸까? 도축없이도 고기를 먹을 수 있을까요?최근 떠오르는 식품 신기술 중 하나인 '배양육'이바로 도축없이 고기를 먹게 해주는 기술이죠.동물의 세포를 채취해 특수한 환경에서 배양하여 섭취한다는 점에서자연과 인간 모두에게 이롭다고 각광받는 기술인데요.하지만 비용이나 대중적인 인식 등 아직 넘어야할 한계가 많은 기술이기도 하죠.오늘은 이런 배양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배양육이란 무엇인가? 배양육(Cultured Meat)은 전통적인 도축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실험실에서 배양된 고기를 의미합니다. 이 고기는 동물의 세포를 채취하여 이를 특수한 환경에서 키워 고기 조직을 생성합니다. 즉, 도축 없이도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배양육은 또한 '셀-배양육(cell-based meat)', '인공육', .. 식품이야기 2025. 3. 21. 더보기 ›› 짜장면 같은 중국음식을 먹으면 졸린 이유? 차이니즈 레스토랑 신드롬(Chinese restaurant syndrome)이란 무엇일까? 짜장면이나 중국 음식을 먹고 나면졸리거나 몸이 무겁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죠.이러한 현상을 일부에서는 ‘차이니즈 레스토랑 신드롬(Chinese Restaurant Syndrome)’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오늘은 이 차이니즈 레스토랑 신드롬은 무엇이고 원인과 증상, 논란그리고 이를 예방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차이니즈 레스토랑 신드롬이란? 차이니즈 레스토랑 신드롬(Chinese Restaurant Syndrome)이란 중국 음식을 섭취한 후 발생하는 두통, 어지러움, 졸음, 가슴 압박감 등의 증상을 말합니다. 이 용어는 1968년 미국의 한 의사가 중국 음식 섭취 후 두통과 피로감을 경험한 것을 보고하면서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증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글루탐산나트륨(MSG, Mo.. 식품이야기/건강한 식생활 이야기 2025. 3. 20. 더보기 ›› 소고기 맛이 나는 쌀이 있다? 국내 연세대 연구진이 개발한 소고기쌀 쌀에서 소고기 맛이 난다고? 국내 연세대 연구진이 개발한 ‘소고기 쌀’이 화제입니다.이 혁신적인 식품은 쌀알에 소의 근육과 지방 세포를 배양하여,일반 쌀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소고기 맛과 향을 지니고 있습니다.오늘은 소고기 쌀의 개발 배경, 특징,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고기 쌀이란 무엇인가? 소고기 쌀은 쌀알을 지지체로 활용하여 소의 근육과 지방 세포를 배양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식품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쌀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자연스럽게 소고기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연세대학교 홍진기 교수팀이 진행하였으며, 국제 학술지 ‘매터(Matter)’에 게재되었습니다. 기존의 대체육과는 다른 혁신적인 방식으로, 앞으로의 식량 산업에서 중요한 변화.. 식품관련 핫이슈 2025. 3. 19. 더보기 ›› 식품의 소비기한은 어떻게 설정되는걸까? 실측실험과 가속실험 수많은 식품들의 소비기한은 어떻게 설정되는걸까요?모두들 한 번쯤은 생각해본 적 있으시죠.식품의 소비기한 설정에는 실측실험과 가속실험이라는 방법이 사용되는데요.오늘은 이렇게 식품의 소비기한은 어떻게 설정되고,또 실측실험과 가속실험은 무엇인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소비기한이란? 소비기한이란 식품을 섭취해도 안전한 최종 날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에 표시되며, 제품이 안전하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한을 나타냅니다. 소비기한이 지나면 식품의 부패 가능성이 높아지거나, 영양소가 감소할 수 있어 섭취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와 달리,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통기한은 제조업체가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는 기한으로, 소비기한보다 짧게 설정되며, 소비자의 안전을 고려한 기준입니다. 소비기한을 설정하는 방법 ..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5. 3. 19. 더보기 ›› 즉석으로 마실 수 있는 RTD(Ready to Drink)란 무엇일까? RTD(Ready to Drink) 음료에 대해서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원래는 제조가 필요한 음료를 간단하게 바로 마실 수 있는 완제품 형태로만든 제품을 말하는 건데요.오늘은 이런 RTD가 정확히 무엇이고어떤 장점이 있으며대표적인 제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RTD(Ready to Drink)란 무엇인가? RTD는 Ready to Drink의 약자로, 말 그대로 음료가 준비된 상태로 판매되어 즉시 마실 수 있는 음료입니다. 일반적으로 캔, 병, 파우치 등 다양한 포장 형태로 제공되며, 따로 준비하거나 섞을 필요 없이 바로 마실 수 있는 편리함이 특징입니다. 이렇게 얘기하면 일반 음료와 RTD가 도대체 무슨 차이인가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겁니다. RTD는 한 마디로 원래는 제조가 필요한 음.. 식품공학/식품기술사 2025. 3. 18. 더보기 ›› 이전 1 ··· 3 4 5 6 7 8 9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