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고기 맛이 나는 쌀이 있다? 국내 연세대 연구진이 개발한 소고기쌀

타스파 2025. 3. 19.

특색있는 색의 소고기쌀


쌀에서 소고기 맛이 난다고?
국내 연세대 연구진이 개발한 ‘소고기 쌀’이 화제입니다.

이 혁신적인 식품은 쌀알에 소의 근육과 지방 세포를 배양하여,
일반 쌀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소고기 맛과 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오늘은 소고기 쌀의 개발 배경, 특징,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고기 쌀이란 무엇인가?

 소고기 쌀은 쌀알을 지지체로 활용하여 소의 근육과 지방 세포를 배양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식품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쌀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자연스럽게 소고기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연세대학교 홍진기 교수팀이 진행하였으며, 국제 학술지 ‘매터(Matter)’에 게재되었습니다. 기존의 대체육과는 다른 혁신적인 방식으로, 앞으로의 식량 산업에서 중요한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소고기 쌀의 특징

  • 높은 영양가: 기존 쌀보다 단백질 8%↑, 지방 7%↑로 영양 함량이 우수함.
  • 소고기 맛과 향: 근육과 지방 세포 함량에 따라 소고기, 크림, 버터, 아몬드 향이 자연스럽게 느껴짐.
  • 환경 친화성: 전통적인 축산업 대비 온실가스 배출이 적어 지속 가능한 식품.
  • 대체 단백질 공급원: 기존 곡물 위주의 단백질 공급원을 보완하는 역할.

 

향후 활용 가능성

  • 구호 식량: 높은 영양가와 저렴한 생산 비용으로 기아 문제 해결에 기여할 가능성이 큼.
  • 군용 및 우주 식량: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영양 밀도가 높아 특수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
  • 대체육 시장: 기존 식물성 기반 대체육과는 차별화된 단백질 공급원으로 주목받을 전망.

 

소고기 쌀, 실제로 먹어보면?

 현재 개발된 소고기 쌀은 아직 연구 단계이지만, 일부 연구원들은 이를 시식해 본 결과, 소고기 특유의 향과 크리미한 맛이 느껴졌다고 합니다.


 일반 쌀보다 더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며, 조리 시 별다른 조미 없이도 풍미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대중화를 위해 가격 절감대량 생산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마무리

소고기 쌀은 전통적인 곡물 식량과 축산업의 경계를 허무는 혁신적인 기술로, 지속 가능한 식품 공급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직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대체 단백질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 소고기 쌀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기대해봐도 좋겠습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