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공학/식품기술사

식품의 소비기한은 어떻게 설정되는걸까? 실측실험과 가속실험

타스파 2025. 3. 19. 09:27

소비기한 설정의 기준은 뭘까?


수많은 식품들의 소비기한은 어떻게 설정되는걸까요?
모두들 한 번쯤은 생각해본 적 있으시죠.

식품의 소비기한 설정에는 실측실험과 가속실험이라는 방법이 사용되는데요.
오늘은 이렇게 식품의 소비기한은 어떻게 설정되고,
또 실측실험과 가속실험은 무엇인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소비기한이란?

 소비기한이란 식품을 섭취해도 안전한 최종 날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에 표시되며, 제품이 안전하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한을 나타냅니다.

 소비기한이 지나면 식품의 부패 가능성이 높아지거나, 영양소가 감소할 수 있어 섭취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와 달리,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통기한은 제조업체가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는 기한으로, 소비기한보다 짧게 설정되며, 소비자의 안전을 고려한 기준입니다.

 

소비기한을 설정하는 방법

 소비기한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식품이 얼마 동안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실측실험가속실험이라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됩니다.

  • 실측실험: 실제 보관 환경에서 제품의 품질 변화와 미생물 증식 여부를 측정.
  • 가속실험: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온도, 습도를 조절하여 실험.

 

실측실험이란?

 실측실험은 식품을 실제 보관 환경에서 장기간 저장하며 변화를 관찰하는 실험입니다. 즉, 식품이 보관되는 냉장·냉동·실온 상태 그대로 두고 일정 주기마다 미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측정합니다.

실측실험의 주요 과정

  • 제품을 실제 유통·보관되는 온도에서 일정 기간 저장.
  • 저장 기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품을 꺼내 미생물, pH, 수분함량, 색상 변화 등을 분석.
  • 소비자가 섭취 가능한 최종 기한을 결정.

장점 : 실제 소비자가 보관하는 환경을 반영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음.

단점 : 실험 기간이 길어(몇 개월~1년 이상) 신속한 결과를 얻기 어려움.

 

가속실험이란?

 가속실험은 온도나 습도를 인위적으로 높여 제품의 변화를 빠르게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온·고습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하며, 실제 보관 기간보다 짧은 기간 내에 변화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가속실험의 주요 과정

  • 제품을 보관 조건보다 높은 온도와 습도에서 일정 기간 저장.
  • 실측실험과 동일하게 미생물, 산패, 영양소 감소 여부를 분석.
  •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기한을 예측.

장점 : 실험 기간이 짧아 소비기한 설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음.

단점 : 실제 보관 환경과 다소 차이가 있어 완벽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려움.

 

실측실험 vs 가속실험, 어떤 차이가 있을까?

구분 실측실험 가속실험
실험 방식 실제 보관 환경에서 장기간 실험 고온·고습 등 가속 조건에서 단기간 실험
소요 기간 수개월~1년 이상 몇 주~몇 달 내에 결과 확인 가능
정확성 높음 비교적 낮음

 

소비기한 설정은 실측실험과 가속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진행됩니다. 두 실험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실측실험으로 기본적인 기한을 설정하고, 가속실험을 통해 보완하는 방식이 활용됩니다.

 

이제 식품 소비기한을 볼 때,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철저한 과학적 실험을 거친 결과임을 이해할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