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이야기/술이야기
소주는 브랜드별로 맛 차이가 있을까?
타스파
2025. 4. 12. 10:18
가끔씩 친구와 술을 마시다보면
소주 맛을 구별할 수 있다는 친구들이 있죠.
똑같은 맛인데 허세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서로 테스트 해보기도 많이 했는데요.
미묘하긴 하지만 사실 원료나 컨디션 그리고 보관방법 등에
실제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브랜드별 소주 맛에 어떤 차이가 있을 수 있는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아두면 나중에 술자리에서
이야기하기 딱 좋은 내용 아닐까 싶습니다ㅎㅎ
1. 소주 브랜드별 맛 차이가 나는 이유
같은 소주라도 브랜드마다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원료의 차이: 쌀, 보리, 타피오카, 옥수수, 고구마 등 다양한 원료를 사용하며, 이는 맛과 향에 영향을 줍니다.
- 제조 공정: 증류 방식, 발효 기간, 숙성 방법 등 제조 과정의 차이가 맛에 영향을 줍니다.
- 첨가물: 감미료나 향료 등의 첨가 여부에 따라 단맛이나 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알코올 도수: 도수의 차이는 소주의 강도와 맛의 느낌에 영향을 줍니다.
2. 브랜드별 소주 맛 비교
다음은 브랜드별로 소주 맛과 원료를 비교 분석한 표입니다. 사실 마실 때마다 다양한 다른 요소에 의해 소주 맛이 변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원료에 기인한 느낌은 다음과 같다고 하네요.
브랜드 | 도수 | 주요 원료 | 맛의 특징 | 맛 차이의 이유 |
---|---|---|---|---|
참이슬 | 16.9도 | 타피오카, 보리 | 깔끔하고 약간의 단맛 | 타피오카 사용으로 부드러운 맛 구현 |
처음처럼 | 16.5도 | 쌀, 보리 | 부드러운 목넘김과 달콤함 | 알칼리 환원수 사용 으로 부드러움 강조 |
진로이즈백 | 16.0도 | 타피오카, 보리 | 과당을 사용하지 않은 제로 슈거 소주로, 기존 맛을 유지하면서도 깔끔한 맛이 특징 |
과당 미사용으로 깔끔한 맛 제공 |
새로 | 16.0도 | 타피오카, 보리 | 과당을 사용하지 않은 제로 슈거 소주로, 증류식 소주를 첨가하여 소주 고유의 맛을 지킴 |
증류식 소주 첨가 로 전통 소주 맛 재현 |
진로골드 | 15.5도 | 쌀 | 쌀 100% 증류원액을 함유하여 부드러운 맛을 강조한 제로 슈거 소주 |
쌀 증류원액 사용 으로 부드러운 맛 구현 |
좋은데이 | 16.9도 | 타피오카, 보리 | 약간의 과일향과 부드러운 맛 | 과일향 첨가로 상큼한 맛 제공 |
한라산 | 17.0도 | 고구마, 보리 | 강한 알코올 향과 청량한 맛 | 고구마 사용 으로 독특한 향과 맛 구현 |
3. 취향에 따른 소주 선택 TIP
아직은 소주에 대한 명확한 취향이 없을 때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한 번 골라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깔끔한 맛을 원한다면? → 참이슬, 진로이즈백
- 부드러운 목넘김이 중요하다면? → 처음처럼, 진로골드
- 달콤한 맛이 살짝 나는 소주를 원한다면? → 좋은데이
- 도수가 높고 강한 소주를 찾는다면? → 한라산
- 제로 슈거 소주를 원한다면? → 진로이즈백, 새로
4. 개인적인 취향
개인적으로는 전형적인 우리나라 달고 쓴 소주의 맛을 느끼고 싶을 때는 처음처럼 그리고 깔끔한 맛을 느끼고 싶을 때는 진로이즈백이나 새로를 마시는 편입니다.
한라산은 어렸을 때 친구들과 즐겁게 마시기 위해 하이볼로 많이 타마셨던 기억이 있는데, 그냥 소주잔에 마셔도 굉장히 괜찮은 술이라고 생각합니다.
즐거운 자리에서 술을 마시면서 어떤 소주가 자신의 취향인지 한 번 같이 이야기해보세요ㅎㅎ